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김정한의 미완성 소설 『세월』과 『난장판』의 텍스트 분석을 목표로 한다. 현재 남아 있는 원고는 장편소설로 기획된 작품의 일부로, 『난장판』은 『세월』의 개작으로 보이며, 집필시기는 1960년대 후반 문단복귀 이후로 추정된다. 이 작품은 1950년대 초 피난지 부산을 배경으로 혼란스러운 당시의 일상을 세밀하게 묘사하고 있다. 작가 메모를 통해서 등장인물의 성격을 확인할 수 있는데, 세 남녀의 애정관계 외에도 권총강도, 밀수꾼, 기자, 검사, 시의원 등이 등장하는 큰 분량의 대중소설을 기획했음을 알 수 있다. 단편소설이 대부분인 김정한의 작품 목록에서 장편소설의 기획은 매우 드문 사례이다. 그리고 이 작품은 한국전쟁기의 부정적 현실을 비판적으로 인식하기 위해 불륜과 비리, 범죄 등의 대중적 소재를 통속적으로 묘사했다는 점도 눈에 띈다. 이 작품에서 일본 유학 체험이 비중 있게 서술되고 있다는 점도 흥미롭다. 주인공은 식민지 시기의 체험을 낭만적으로 회상함으로써 전쟁기의 부정적 현실을 비판한다. 즉 유학생 시절 연애의 낭만성은 전쟁기에도 이어져 현실 비판의 근거가 된다. 연애경험과는 달리 예과 문학부의 낭만성은 전쟁을 겪으면서 단절된다. 대신 1960년대 김정한의 문학론이 전쟁기에 투영되어 비판의 근거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유학생 시절의 문학론은 불분명하게 서술된 반면, 1950년대의 문학론은 1960년대 김정한의 문학론과 매우 유사하기 때문이다. 결국 전쟁기 부산의 부정적인 현실은 식민지 유학생의 낭만성과 김정한의 문학적 신념이라는 두 준거지점에서 비판받은 것이다. 이러한 주제의식과 더불어 이 작품은 대중소설의 기획을 분명히 드러냈다. 두 판본의 비교를 통해 대중성에 부합하는 어휘나 서술 방식은 작가의 의도가 반영된 선택임을 알 수 있는데, 이 또한 김정한의 기획이 대중지향적이었음을 말해준다. 미완의 원고이긴 하지만 이 작품을 통해 김정한의 또 다른 문학적 지향을 추정할 수 있다.


The paper aims at analyzing the text of Time(『세월』) and A Chaos(『난장판』), Kim Jeong-han's unfinished posthumous works. This work is part of a work designed as a popular novel, and it is presumed that A Chaos is a modification of Time. And the writing time of this work is estimated since the late 1960s. This work delineates and criticizes the confusing daily life in the early 1950s, with the background of Busan as a place of refug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ersonality of the character through the author's notes. In addition to the affection of the a man and two women, pistol robbers, smugglers, reporters, prosecutors, and city councilors etc., suggest that this work has designed a large-scale mass novel. In the list of Kim Jeong-han's works, which are mostly short stories, the planning of novels is very rare. It is also noticeable that in the background of Busan in the 1950s, it portrayed popular material such as affair, deviance and crime. This work focuses on critically recognizing the reality of Busan in the 1950s. Adultery and crime were symbols of Busan's negativity at the time. What is interesting, however, is that the experience of studying in Japan is described in this work. The main character criticizes the negative reality of Busan by recalling the experience of the colonial period romantically. In other words, the romanticism of affair during the period of foreign students leads to the war period, which is the basis of reflection and criticism of the negative reality. Unlike the romantic experience, the romanticism of the department of literature is cut off during the war. Instead, Kim Jeong-han's a critical literary attitude of the 1960s is projected in the war and serves as a basis for criticism. The negative reality of Busan's war was criticized at two points of reference: the romanticism of the colonial foreign students and the literary attitude of Kim Jeong-han. Along with this theme consciousness, this work clearly revealed the planning of popular novels. The comparison of the two editions reveals that the choice of the vocabulary and the narrative method that correspond to the popularity reflects the intention of the author, which also indicates that Kim Jeong-han's plan was popular-oriented. Although it is an incomplete manuscript, this work can be used to estimate another literary direction of Kim Jeong-h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