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세계화시대에 사회양극화가 심화되면서 복지에 대한 관심이 다시 높아지고 있다. 문제는 전통적 복지국가방식이 아닌 새로운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적기업, 사회적경제 혹은 제3섹터는 변화하는 시대상황을 반영하는 개념으로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개념들은 복잡하고 불확실한 세계화시대에는 한계를 가진다. 또한 전체사회가 점차 시장논리에 잠식되는 현실에 새로운 대안을 제공하지 못하고 오히려 방기한다. 본 연구는 이 개념의 배경이 되는 정치체계, 경제체계 그리고 시민사회의 역사적 과정을 간단하게 소개한 뒤 이 개념의 한계를 지적한다. 이어서 세계화 시대에 개인의 행위가 강조되면서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루만의 체계이론과 쉬만크의 행위자이론은 이론적 재구성을 위하여 매우 유용하다. 본 연구는 이 이론들을 통해 사회적 경제윤리의 형성가능성을 설명한다. 또한 기능체계들 사이의 관계를 통해 새로운 복지패러다임으로서 복지혼합도 소개할 것이다. 새로운 경제윤리와 복지혼합의 개념은 국민국가와 세계사회의 과도기에 있는 현 시점에서 기능체계가 아닌 행위자의 행위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는 상황을 부각시킨다. 본 연구는 이러한 변화과정에서 국가가 아닌 사회에 방점이 찍히면서 독일 사회국가가 더욱 역동적인 모습을 띠게 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In the age of globalization, the social polarization has intensified and the welfare interest has increased. The problem is that welfare does not mean a traditional welfare state but calls for a new paradigm. Social enterprise, social economy or the third sector emerged as a concept reflected the changing times. However, these concepts have limitations in the age of complex and uncertain globalization. Furthermore, they show no new alternatives to reality that market logic is gradually interfering in the whole society. This article presents the tradition of the social state in Germany, the historical process of the political system, the economic system and civil society, which forms the background of these concepts, and shows their limits. Then it argues that a new approach is needed, by emphasizing the action of the actor in the age of globalization. Luhmann's system theory and Schimank's theory of actors are very useful for theoretical reconstruction. Through these theories, this article proposes the possibility of socio-economic ethics. It will also introduce a new paradigm of welfare-mix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systems. The concepts of a new economic ethics and welfare mixture represent a situation which the action of the actors in the transitions from the nation state to the world society is inevitably more important than the systematic function. To sum up, this article shows that the concept of the inherent social state in Germany has not disappeared, but has been reintroduced in this proc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