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재일코리안 여성 무라야마(村山) 씨를 다룬 구술사연구이다. 1990년 6월 한국에서 니가타(新潟)로 결혼이민을 간 무라야마(村山) 씨는 26년간 일본에 거주하며 재일코리안으로서 살아가고 있다. 농부인 남편은 쌀농사를 하고 겸업으로 소를 기른다. 성인이 된 두 아들 중 장남은 일본의 ‘자위대’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차남은 지인의 소개로 회사에 입사하여 영업사원으로 근무 중이다. 무라야마 씨의 삶의 궤적을 살펴보는 것은 재일코리안 여성의 삶과 1980년대 말부터 본격화되기 시작한 결혼이민을 통해 일본으로 건너간 재일코리안의 ‘현재’를 규명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국제결혼이란 낯선 나라, 외국인을 체험하는 ‘사건’이다. 외국에 이주해서 이질적인 환경과 관계망에 적응하는 문제는 이주자의 불안, 걱정, 스트레스 등 심리적 상태와 긴밀한 관계가 있다. 다시 말해 결혼과 정착은 결국 무라야마 씨가 일본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확립과 일본인으로 살아가기 위한 적응의 과정이다. 여기에 일본이란 낯선 환경이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이 환경은 결혼으로 형성하게 되는 ‘가족환경’의 인간관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한국과는 또 다른 ‘자연환경’ 역시 적응에서 중요한 고려지점이다. 흔히 이민을 논할 때 이민제도와 차별, 민족정체성, 가족 등을 주로 논하게 되면서 ‘자연환경’이 이주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간과되어 왔다. 요컨대 본고는 무라야마의 구술을 통해 가족환경뿐만 아니라, 자연환경과 자연재난인 지진이 이민생활에 미친 영향을 구명(究明)하고자 했다.


This article is a study on oral history of Japanese female Murayama in Japan. Murayama, who married in Niigata in Japan in June 1990, has lived in Japan for 26 years and is living in Japan as a Zainichi Korean. Her husband, a farmer, farms rice and raises cows. Among the two sons who became adults, the eldest son is working for Japan's Self-Defense Forces (SDF), and the second son works the company as a salesperson. The aim of Murayama's life is to examine the life of Zainichi Korean women living in Japan and to identify the 'present' of the Korean-Japanese who went to Japan through marriage immigration, which began to hit the stride in the late 1980s. International marriage is an 'incident' in which a foreign country is experienced. The problem of adapting to a heterogeneous environment and network by moving to a foreign country is close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state such as anxiety, and stress of a migrant. In other words, marriage and settlement are finally the process of Murayama's establishment of identity as a Japanese and adaptation to live as a Japanese. Here Japan, the unfamiliar environment of Japan will be affected. This environment does not mean only the relationship of 'family environment' which is formed by marriage. Another 'natural environment' that is different from Korea is also an important consideration point in adaptation. When discussing immigration, immigration system, discrimination, national identity, family, etc. are mainly discussed, and the impact of 'natural environment' on immigrants has been relatively overlooked. In short, this article is a study on the influence of Murakama 's oral research on immigrant life as well as family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natural disas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