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보편주의와 특수주의의 역설적 접속을 본질로 하는 민족주의의 특성에 주목하여 이광수 ‘민족성 개조론’의 이념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논점은 다음 두 가지 측면에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은 다이쇼 시기 식민 제국 일본의 ‘문화주의’를 이념적 근거로 하여 형성되었다. 이광수는 ‘민족성 개조론’에서 정치성을 배제하고 도덕적인 방면에서 민족 개조 운동을 전개할 것을 주장한다. 이런 주장은 정치와 문화의 분리, 문화의 특권화로 대변되는 다이쇼기 일본 문화주의의 이념적 효과로 설명할 수 있다. 문화주의의 이념적 효과로 이광수는 ‘인격’의 완성을 ‘민족성 개조’의 목적으로 제한함으로써 예술과 인생, 정신과 권력을 대립적으로 바라보고, 문화 자체가 정치의 타당한 대체물이 될 수 있다는 인식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민족성 개조론’에서 역사적 현실의 문제는 괄호화되고 만다. 둘째, 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은 ‘무실’과 ‘역행’을 실천 원리로 삼고 있다. ‘무실’과 ‘역행’은 개인이 ‘자기규율’의 정신에 따라 근면한 직업인으로 성장해가는 것을 삶의 목표로 설정한다. 따라서 ‘무실’과 ‘역행’의 특징은 직업윤리 및 노동윤리의 내면화에 있다. 자기규율의 정신과 노동윤리의 내면화는 근대 금욕윤리의 특징이기도 하다는 점에서 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은 근대의 금욕윤리를 내재화한 담론이라 할 수 있다. 이광수가 ‘무실’과 ‘역행’의 실천 원리를 통해 ‘민족성 개조’의 가능성을 제기할 수 있었던 것은 르봉의 ‘민족심리학’ 수용을 통해 ‘민족성’이라는 형이상학적 본성을 상정하였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러나 이광수의 ‘민족성 개조론’에 내재된 근대의 금욕윤리는 역사적 현실의 문제 해결을 개인의 심리적 태도 전환, 즉 인생의 ‘예술적 개조’로 치환함으로써 현실 자체를 무화하는 이념적 효과를 낳게 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 of nationalism which is the paradoxical connection between universalism and specialism, and intends to identify the ide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in Lee, Kwang-Su through an intrinsic approach. The issue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 two aspects. First,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in Lee, Kwang-Su was formed on the basis of "culturalism" of Japanese colonial empire. He insists on eliminating politics and developing ethnic reform movements in a moral wayi in the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This argument can be explained by the ideological effect of Taisho Japan's culturalism which is represented by the separation of politics and culture and the privilege of culture. The ideological effect of culturalism led to the perception that he confused the arts and life, mind and power by restricting the purpose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in the completion of 'personality', and culture itself could be a valid substitute for politics. Therefore, the issue of historical reality is parenthesized in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Second, The principle of practice of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in Lee, Kwang-Su is ‘Musil’(務實) and ‘Yeoghang’(力行). Those set the goal of life for the individual to grow into a diligent profession in accordance with the spirit of 'self-discipline'. Therefore, those are characterized by the internalization of work ethics and labor ethics. The spirit of self-discipline and internalization of labor ethics are also characteristic of the modern ascetic ethic, and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in Lee, Kwang-Su is a discourse that embodies modern abstinence ethics. The reason why he was able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through the principle of ‘Musil’(務實) and ‘Yeoghang’(力行) is that he accepted the metaphysical nature of 'nationality' through acceptance of Gustav Le Bong's 'national psychology'. However, the modern abstinence ethic inherited in Lee, Kwang-Su's 'the theory of Nationality Reconstruction' has the ideological effect of dismissing the reality itself by replacing the problem solving of historical reality with the psychological attitude change of the individual, the artistic reconstruction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