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최근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창의적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서는 초중등 교사들이 창의·인성교육 실천 역량을 갖춘 인재가 되어야 한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교사양성과정과 학교 현장 실천을 잇는 기제로서 교육실습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러나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창의·인성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과 저해요인을 규명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는 문제인식에서 본 연구는 이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한 교·사대 예비교사 239명의 자료를 기술통계, t검증을 통해 분석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교육실습 과정 중 수업활동과 비교과업무에서 창의·인성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은 높게 인식하였다. 그러나 교사 양성과정에서 관련 내용 부족, 오리엔테이션 부족 등 양성기관 요인과 함께, 역량 발휘 기회 부족, 학교·학교장·지도교사 지원 부족 등 실습학교 요인은 예비교사들의 역량 발휘를 저해하는 심각한 걸림돌로 인식되고 있었다. 또한, 이러한 인식은 예비교사의 학년과 학교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육실습이 예비교사들의 창의·인성역량을 제고시키는 방향으로 개선되는 데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ossibilities and problems of a teaching practicum in terms of exerting and enhancing pre-service teachers'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apacity. A total of 239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They were asked on when and to what degree they can demonstrat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ability during their teaching practicum. They were also asked on perceived inhibitory factors. Their response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via t-test and ANOVA 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y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apacity in such tasks as delivering a lesson, lead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student counseling. Second, the pre-service teachers pointed to the lack of university curriculum, orientation, and insufficient support of practicum school site, principal and teachers as main obstacles to exerting their 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 capacity. Third, their response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 grade and school type of the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and drew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ement of teaching practicu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