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he key constructs in three major L2 motivation theories and explore how the constructs differ in predicting their explanatory power for affective (English anxiety and linguistic self-confidence), behavioral (alertness, participation, and volunteering), and linguistic (speaking performance) outcomes. A total of 73 Korean EFL undergraduates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measuring the motivational constructs and affective variables. They also completed a behavioral grid assessing their classroom learning behavior and conducted a speaking performance. A correlation analysis found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not only between the ideal L2 self, and integrativeness, instrumentality-promotion, intrinsic, identified, and introjected regulation, but also between the ought-to L2 self, and instrumentality-prevention, introjected, and external regulation.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the affective outcomes were predicted by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the self-determination theory and the ideal L2 self in the L2 motivational self system. The behavioral outcomes were best explained by external regulation and the ideal L2 self. The linguistic outcome was predicted by only the ideal L2 self.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tegration of the key motivational constructs from the different theories can better show different motivational effects on learning-related outcomes.


이 연구는 세 가지 주요 동기이론들이 제시하는 동기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와 그 구성요소들이 정서적 (영어불안감, 영어에 대한 자신감), 행동적 (집중, 수업참여, 자원응답), 언어적 (영어말하기 시험) 결과를 설명하는 데에 있어 보이는 차이점들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 연구에 참여한 73명의 한국 대학생들은 그들의 동기 구성요소, 영어불안감과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측정하는 설문지 및 교실에서의 학습행동을 평가하는 행동 그리드에 응답했고 영어말하기 실력을 평가하는 영어말하기 시험에 응시했다. 동기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서 ideal L2 self는 integrativeness, instrumentality-promotion, intrinsic, identified, introjected regulation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ought-to L2 self는 instrumentality-prevention, introjected, external regulation과 유의미하게 정적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정서적 결과물은 자기결정이론의 네 가지 구성요소와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의 ideal L2 self에 의해 가장 잘 설명이 되었고, 행동적 결과물은 자기결정이론의 external regulation과 제2언어 동기적 자아체계의 ideal L2 self에 의해 예측될 수 있었다. 언어적 결과물은 ideal L2 self에 의해서만 예측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세 가지의 주요 동기이론들이 제시하는 구성요소들의 결합이 제2언어 학습과 관련된 결과물을 더 잘 설명할 수 있다는 점과, 각 이론이 제시하는 동기구조들이 학습관련 결과에 미치는 영향은 서로 다르다는 점을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