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들뢰즈는 베르크손의 원뿔을 꼭짓점=긴장, 밑면=이완이라는 도식으로 이해했다. 그러나 다른 부분의 논의를 고려한다면 꼭짓점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고, 밑면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다고 해야 한다. 물론 긴장은 항상 꼭짓점, 즉 현재와 연관을 맺어야 하지만, 그 현재에서도 긴장과 이완이 있을 수 있다. 우리는 어차피 현재에 있을 수밖에 없지만 그 현재에서도 이완되면 꿈과 같은 잡다한 기억이 나올 수도 있고 긴장하면 점점 더 깊은 기억의 밑바닥까지 갈 수도 있다. 결국 들뢰즈의 도식은 밑면=(기억의) 풍부함, 꼭짓점=(기억의) 빈약함의 도식으로 대체되어야 한다. 풍부한 기억의 밑면으로 가는 길만을 놓고 말하자면 보통 사람의 경우에는 꿈이나 정신병, 혹은 죽으려 할 때에나 전 생애의 기억이 떠오르겠지만, 비상한 천재들에게는 긴장하면서도 기억의 심연에 가 닿을 수 있다고 해야 한다. 예수님이나 부처님과 같은 신비주의자에게는.


Deleuze interpretes the top of Bergson's cone of memory as tension, the bottom as relaxation. But in considering various parts of Bergson' text, we have to think, there can be tention or relaxation at the top as well as at the bottom. Of course, tension is always related to the present, which is the top, but there can be also tension or relaxation in the present. Even if it's true that we can live only in the present, in that present, however, we can have various memories like in the dreams or we can go to the deep bottom of memory with tension. Finally, the schematic interpretation of Deleuze should be replaced to the shema regarding the top of the cone as aboundance (of the memories), and the bottom as their meagreness. To speak with the bottom, ordinary people can recall the whole memory of their life only in the moment of death or through dreams or mental diseases, but some geniuses, mystics like Jesus or Buddha, can go to the abyss of memory in ten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