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본 논문은 KOSDAQ시장에서 일부 거래자들이 포지티브 피드백거래 전략을 따른다는 가정하에 자기상관관계의 패턴을 실증분석하였다. 포지티브 피드백거래 전략을 따르는 거래자들에 의해 야기되는 수익률의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주가지수 수익률 시계열상관과 변동성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비대칭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를 위해 KOSDAQ지수 일별 수익률을 이용하였다. 자료의 표본기간은 2001년 1월부터 2016년 12월까지이다. 본 연구는 변동성 측정을 위해서는 GARCH-type모형을 적용하여 조건분 분산을 측정하고 이를 koutmos 모형에 적용하여 KOSDAQ지수 일별 수익률에서 나타나는 시계열 구조를 파악하였다. [연구결과]분석결과 포지티브 피드백거래가 주가지수 일별수익률에서 음의 1차 자기상관관계를 발생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시장이 하락할 경우 포지티브 피드백거래의 경향이 강화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구의 시사점]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KOSDAQ시장에서 포지티브 피드백거래가 존재하며 이는 일부 투자자들이 내재가치 보다는 피드백거래전략을 따르고 있음을 함의하고 있다.


[Purpose]This paper examines the autocorrelation pattern in KOSDAQ market, assuming that some investors follow a positive feedback strategy. This paper investigate the link between return autocorrelation and volatility to capture the return characteristics induced by trader following a positive feedback strategy. [Methodology]For this Purpose, the daily return series of KOSDAQ index are used. The sample consists of from January 2001 to December 2016. We examine the autocorrelation structure in the daily return series by applying the conditional variance from GARCH-type measure to koutmos model [Findings]It is found that positive feedback trading induces negative autocorrelation in KOSDAQ index return and becomes more negative as the level of volatility rises. In addition, Feedback trading is more intense during market declines. [Implications]Our empirical evidence shows that positive feedback trading is present in KOSDAQ market and some investors follow a positive feedback strategy rather than fundamental val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