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도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기술․가정교과의 교수적 수정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수업참여도와 학습목표달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D시 중학교에 재학 중인 경도 지적장애 학생으로 통합교육 환경에 배치된 학생 3명이었으며, 연구 방법은 대상자간 중다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수정의 적용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수업참여행동을 증가시켰다. 둘째, 대상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수정의 적용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수업일탈행동을 감소시켰다. 셋째, 대상학생의 특성을 고려한 교수적 수정의 적용이 경도지적장애학생의 학습목표달성도를 향상시켰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연구동향에 대한 논의와 후속연구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instructional adaptation to the ‘Technology-household subject’ and to investigate its effects on the class participating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ree students who are with mild mental retardation and the first year students of junior high school attending an inclusive class.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adaptation in Technology-household subject on class particip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ere measured by the multiple-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a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was increased in all students, and a out-of-seat behavior was decreased in all students. The application of instructional adaptation turned out to have positive impacts on increasing the class participation behavior rate and decreasing the out-of-seat behavior rate of the students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academic achievement was increased in all student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for the future study we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