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urpose]This study, with Chinese ordinary employees as the research objects, aims to verify the influence of servant leadership and its dimensions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the mediating effect of workplace spirituality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efficacy. [Methodology]Based on related antecedent research, this study proposes five hypotheses. Survey method is used to prove the study hypothesis using data collected from employees working for companies in China and SPSS Statistics 22.0 & AMOS 22.0 programs were used in analysis. The main analytical methods include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model fit analysis and so on. [Findings]The servant leadership is significant positively related to organizational performance. Moreover, the workplace spirituality and self-efficacy influences them as the mediating variable and the moderating variable, respectively. [Implications]This study identifies that leaders should bring into play their rational guidance and persuasion and altruistic mission, and strive to cultivate and improve employees’ self-efficacy and workplace spirituality, so as to achieve the purpose of improving organizational performance of enterprises.


[연구목적]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증하고, 이 과정에서 일터영성의 매개효과와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기초하여 5개 가설을 제기하였다. 이를 위해 일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SPSS 22.0과 AMOS 22.0을 통해 수집된 자료의 가설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첫째, 서번트 리더십이 근로자의 조직시민행동,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일터영성의 매개변수를 확인되었다. 셋째, 서번트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의 조절변수를 확인되었다. [연구의 시사점]기업에서 리더의 설득과 이타의 특성을 중요시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종업원의 자기효능감과 일터영성을 키워야 한다. 이를 통해 기업의 조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조직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