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연구목적]본 연구는 직장-가정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를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직장-가정갈등의 두 가지 표현방식(WIF와 FIW)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중국 학사이산 학력 근로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총 398개의 유효 샘플을 회수하였다. SPSS통계패키지를 이용하여 설문결과에 대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직장-가정갈등에 있어 WIF에 비하여 FIW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조직지원감이 높은 근로자는 직장-가정갈등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보다 효과적으로 극복할 수 있으며 가치인정이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이 근무지원과 관심이익보다 높은 젓으로 분석되었다. WIF와 직무소진의 관계에 있어 조직지원의 조절효과가 검증되었지만 FIW와 직무소진의 관계에서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연구의 시사점]인적자원관리 현장에서 조직은 여러 가지 조직지원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치를 마련해서 조직과 개인의 윈-윈을 위해 노력해야 한다.


[Purpose]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on job burnout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and job burnout. [Methodology]To study th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and its two forms (WIF and FIW) on job burnout and determine whether the influencing mechanism and effect of the two forms of conflict is the same,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among Chinese employees and received 398 valid responses and analyzed the data by SPSS. [Findings]FIW has a stronger impact on job burnout than WIF; individuals with a higher level of organizational support are more prepared to deal with the negative impact of work-family conflict; compared to supervisor support and perception concerning to what extent the organization cares about their wellbeing, employees’ perception concerning to what extent the organization values their contribution has a stronger effect on job burnou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WIF and job burnout, organizational support plays the role of moderator; organizational support does not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W and job burnout. [Implications]The organization should adopt various HR management measures to improve the level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among employees to impro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and promote both organizational and personal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