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은 표절논란에 휘말렸던 영화 <기적>(이만희, 1967)을 둘러싸고 벌어진 심의기구들의 공방전을 통해 1960년대 중반의 심의체계와 각 기구 간의 미묘한 긴장관계를 밝히고자 한다. 대체로 표절시비에 휘말렸던 작품은 영화사에서 지워지거나, 표절의 흔적을 걷어낸 채 다른 성과로 찬사를 받는다. 이는 표절을 대할 때에 늘 표절여부를 가리는 것이 표절문제의 핵심이라는 생각이 만들어낸 결과라 할 수 있다. 그러나 표절은 ‘표절이냐 아니냐’와 같은 결과에 치중한 시각을 넘어설 때 논의의 시야를 넓힐 수 있다. 영화 <기적>은 표절의혹이 불거지고 1년이 훌쩍 지나서야 공보부로부터 (애매하지만) 표절이 아니라는 의견을 받아낸 이례적인 작품이다. 검열서류를 통해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표절시비를 가리는 과정과 그 사이에서 드러나는 제작사, 한국영화업자협회,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 공보부 등과 같은 영화업자와 심의기구 사이의 알력은 1960년대 중반의 심의체계와 함께 각 단체의 위상을 재정립시킨다. 강력한 의견을 내보였던 한국영화업자협회, 한국예술문화윤리위원회의 의견을 무시하는 제작사, 단호한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공보부 등은 표절이라는 이름 뒤에 감추어졌던 영화계 권익투쟁의 장을 보여준다.


This study reveals the subtle tense relationship between the Censorship System and each organization in the mid-1960s through the offensive and defensive battles that surrounded the film Whistle (Lee, Man-hee, 1967), which was caught in a controversy of plagiarism. Usually, most works caught in a plagiarism scandal are removed from the film history or, on the contrary praised for their expurgated edition. This can be said to be the result of the question whether it is plagiarism or not, which always appear when plagiarism arises. However, the discussion on plagiarism can be widened when one moves beyond a result-focused perspective such as “whether it is plagiarism or not.” The film Whistle is an exceptional work that was determined not to be plagiarism (though equivocally) more than one year after the suspicion of plagiarism was brought up by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The process of distinguishing whether a work is plagiarized can be concretely seen through censorship documents and the friction between film producers, such as the Korean Film Trade Association, the Korea Arts and Culture Ethics Committe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and the Censorship Board that re-establishes the status of each organization, along with the Censorship System in the mid-1960s. The Korean Film Trade Association that express their powerful thoughts and opinions, film productions that neglect the opinion of the Korea Arts and Culture Ethics Committee and the Ministry of Culture and Communications that cannot make hard-nosed decisions show the scene of struggles for rights and interests hidden behind the name of plagiaris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