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만시를 비롯한 애도문학은 장르의 관습이나 창작의 계기가 미학보다 우세하여 예술적인 개성이 부족하다고 평가되곤 한다. 본고에서 다루는 혜환 이용휴(李用休, 1708~1782)의 만시에서는 장르가 가지는 관습적인 성격이 타자지향적인 윤리의 문제로 전환됨으로써, 윤리학과 미학이 이상적으로 결합된다. 혜환은 조물주나 하늘을 비롯한 신적 타자를 인간 존재의 주인으로 보는 경제학적 논리로써 죽음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킨다. 이로써 과도한 비탄은 혜환의 만시에서 약화되고 오히려 부활의 가능성에 대한 희망적인 전망이 나타난다. 동시에 혜환은 애도자로서의 시인 자신이 지닌 감정을 절제하고, 고인뿐만 아니라 애통해 하는 유족들을 힘써 기억하고 재현함으로써 가족공동체를 위로하는 모습을 보인다. 타자를 중심으로 한 윤리학적인 시선을 견지하는 혜환은 고인에 대한 평가에 있어서도 상투적인 칭양에 국한되지 않는다. 그의 만시에서는 입신출세보다는 학문과 문학, 인격 면에서의 고양에 의미를 부여하는 미학적인 해석이 칭양을 대신하는 양상이 나타난다. 요컨대 혜환 이용휴의 만시는 죽음에 대한 비관이나 허무를 초월하여 신적 타자, 망자, 유족, 애도자로서의 시인 자신, 그리고 현재의 독자들까지도 공동체적으로 결속시키고 위로하는 문학이라 할 수 있다.


It is often said that consolatory literature such as elegy or bereavement poems may lack artistic singularity because its conventions and opportunities of creation are far more dominant than its aesthetics. On the contrary, the elegies of Yi Yong-hyu(李用休, 1708-1782) transform the conven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genre into the ethics of other and achieve the ideal marriage of ethics and aesthetics. The poet reshapes the view on death in terms of an economic metaphor comparing divine other such as the creator(造物) or the Heaven(天) to the owner of human being. According to his observation, death means the return of the borrowed object to his/her owner, there is no reason to lament excessively for the dead. The hopeful expectation for resurrection is unveiled instead. Other than expressing his own grief, Yi focuses on representing the dead and the bereaved all together and thereby conserving the communality of family and society in his elegies. From an ethical perspective, Yi also conducts an aesthetic interpretation of the personality of the dead instead of admiring mundane standards of one's accomplishments. In sum, the elegies of Yi Yong-hyu triumph over pessimist or nihilist views on death with an ethical vision; they connect divine other, the dead, the bereaved and the lamenting poet with readers-of-the-moment as an on-going community. Yi's elegies are great expectations of hope left in Korean cultural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