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전통적 게이트키핑 이론과 함께 1990년대 슈메이커가 제기한보다 넓은 의미의 게이트키핑이론을 살펴본 후, 게이트키핑 현장에서 일어나는 실제 사례를 살펴봤다. 특히 한국의 주요 미디어에서 게이트키핑 이론이 어떻게 작동되고 있는지게이트키핑이론의 내부와 외부 요인을 고려하여 ‘이론과 실제’를 연계해 분석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이 연구는 같은 사실이라도 게이트키핑에 따라 어떻게 차이가 나타나는지두 가지 사례로 나눠 최근 기사를 비교 분석했다. 민감한 사회 문제나 가치관 이념 등을달리하는 이슈가 발생했을 경우, 조직 특성과 사회문화 및 이데올로기 요인은 다른 요인에 비해 강도 높게 작동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동일한 팩트라도 조직의 특성과 사회문화적 요구에 맞게 해석하면, 얼마든지 기사의 비중을 키울 수 있다는 것과 같은맥락이다. 이 연구는 언론계 종사자가 아니더라도 쉽게 게이트키핑을 이해하고 전반적인인식의 수준을 높이는 단초를 제공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This study sketches out the traditional gatekeeping theory and then the recent gatekeeping theory particularly addressed by Shoemaker(1991), followed by two recent incidents that reflect the gatekeeping in major newspapers in Korea in practice.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e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to influence the gatekeeping in media by looking into two cases in 2017. When sensitive social issues took place,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 and ideology factor actually influenced on media gatekeeping process much more than other factors. This study aims for diverse stakeholders to gain better understandings about the gatekeeping process in pract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