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사회가 급속하게 변화함에 따라 개인의 생활양식과 생활패턴 또한 변화하고 있으며 이러한 생활양식 및 생활패턴의 급속한 변화는 범죄피해확률을 포함한 우리생활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임은 자명한 일이다. 예컨대 잦은 술자리 등의 높은 수준의 야간활동(night time activities)을 유지하는 사람은 범죄노출 및 재범의 피해 확률이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게 조사되었다(Meithe et al.,1990). 즉, 저녁약속 및 술자리의 증가, 자가용 대신 대중교통이용 등과 같은 생활양식 변화는 잠재적 범죄자들(motivated offenders)에 대한 노출을 증가시킬 수 있고 늦은 귀가는 감시의 부재(lack of capable guardianship)라는 측면에서 범죄피해 가능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상생활이론과 생활양식-노출이론에 관한 실증연구는 해외에서 활발하게 진행된 반면 국내에서는 이와 관련한 실증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않은 실정이다. 특히, 생활양식의 변화가 실제로 범죄피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에 관한 실증연구는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2년과 2014년 전국범죄피해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일상생활양식의 변화가 범죄피해확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거시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에 따르면, 밤 10시 이후 늦은 귀가패턴의 증가가 폭력범죄 및 재산범죄피해 확률을 높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논의를 진행하였고 정책적 제언, 연구의 한계,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결론부분에 제시하였다.


Although there has been increasing number of study that focus on routine activities and lifestyle of the victims, there is relatively little study examining the change of routine activities and lifestyle and crime victimization. In addition, most of prior inquiry has been examined a cross-sectional dataset and limited in delinquent and criminal behaviors in Western societies. Therefore, the primary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routine activities/lifestyle changes and crime victimization including both violent and property crime victimization using two recent waves of Korean Crime Victim Surveys(2012 & 2014; a repeated cross-sectional data). The main findings from the Poisson and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es suggest that routine activities and lifestyle changes had a positive impact on violent and property crimes. That is, someone who came home after 10PM more frequently than last years were more likely to be victimized for both violent and property crimes. However, other theoretically important predictors such as public transportation, drinking lifestyle, avoidance behaviors were founded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Interestingly, none of community level characteristics including social disorder, physical disorder, social bonds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crime victimization. Finally, policy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