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한국의 도시들의 상대적 포용성 정도를 진단하고, 이러한 진단을 바탕으로 도시들을 유형화하여 유형별로 포용성의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도시 포용성 지표체계(UIIS) 에 따라 2015년 기준 전국의 94개 시·군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유형을 구분하고, 포용성 유형별로 포용성의 4대 차원과 11대 구성요소, 포용성 종합지수를산출하였다. 그 결과는 한국의 도시들을 세 가지 포용성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제1유형은 대도시가 주를 이루는 유형으로서, 사회적 약자의 역량 형성 및 권한 부여와 관련된 여건이 좋고공식적 계약을 바탕으로 한 상호의존성이 양호하다. 반면 사회적 약자들의 안정적 거주공간이 부족하고 사회적 호혜 정도도 약하다. 제2유형은 중소도시가 주를 이루는 유형으로서 공공임대주택 재고, 소득-주택가격 비율 등 저렴한 주거 관련 여건이 좋아 공간적 개방 차원이 우수하고, 나머지 차원의 지표들에 대해서는 중간 정도의 점수를 보인다. 제3유형은 농촌지역이 주를 이루는 유형으로서, 강점과약점의 측면에서 제1유형과는 대체로 반대의 경향을 보인다. 이 유형의 도시들은 상호의존 및 공간적개방 차원의 점수가 높아서, 사회적 약자의 공간통합, 사회적 호혜, 공교육 여건 역시 강점으로 나타났다. 반면 사회적 약자들의 기본적 역량 형성을 위한 기반이 미흡하고 양질의 일자리 계약을 통한 공식적 상호의존 관계의 형성이 부족하다. 이러한 유형화와 특성 분석 결과는 각 유형별 도시들이 포용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특히 어떤 분야에 초점을 두고 정책을 수립해야 하는지를 시사한다.


This study aims to classify Korean cities based on the evaluation of their relative inclusivity an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inclusivity along the typology. To accomplish this, data were collected for 94 cities and counties nationwide as of 2015 according to the Urban Inclusivity Indicators System (UIIS), and a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classify them into types.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comprehensive index score as well as the four dimension scores and the 11 component scores for inclusivity of each type to characterize it. The results show that Korean cities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in terms of inclusivity. Type I consists mainly of mega cities, which has good conditions related to capacity building and empowerment of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has good interdependence based on formal fair contracts for division of labor. On the other hand, there is a lack of stable residential space for the disadvantaged people and the degree of social reciprocity is weak. Type II is a type mainly for small and medium sized cities. This type has a good spatial openness in that it has a good inventory of affordable housing such as public rental housing, and a low ratio of housing price to income, while it has medium scores for the indicators along the other dimensions. Type III is a type mainly for rural areas and shows a tendency to be generally opposite to Type I in terms of strengths and weaknesses. Cities of this type have high scores on the dimensions of interdependence and spatial openness, and thus social integration, social reciprocity, and public education conditions are also strong points. On the other hand, the foundation for the basic capacity of the socially vulnerable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lack of formal interdependence through quality job contracts. The results of this typology and characterization suggest policy areas that each type of cities specifically needs to focus on to promote inclus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