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배경 및 목적: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환자는 인지기능의 손상 양상이 다양한 이질적인 집단이므로, MCI 하위유형의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단일영역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amnestic single-domain MCI, asMCI), 다영역 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amnestic multiple-domain MCI, amMCI), 비기억상실형 경도인지장애(non-aMCI)의 세 MCI 하위집단과 일반노인에게 대면이름대기 과제를 실시하여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방법: 대상자는 MCI 환자 96명(asMCI 27명, amMCI 39명, non-aMCI 30명)과 일반노인 30명이었다. 한국판 보스톤 이름대기 과제 단축형인 K-BNT-15를 실시하여, 집단 간 과제의 총점, 오류유형(시지각, 의미, 음운, 비연관, 기타)의 비율, 정반응 중 자가수정과 시간지연반응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첫째, 총점은 amMCI와 asMCI가 일반노인과 non-aMCI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둘째, 오류유형 중 의미 오류만 집단 간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가수정과 시간지연반응 비율은 MCI 하위집단이 일반노인보다 높았다. 특히, 자가수정반응 비율은 기억력 외의 다른 인지기능 저하가 있는 MCI 집단에서, 시간지연반응은 기억력 손상이 있는 MCI 집단에서 더 높았다. 논의 및 결론: MCI 하위유형은 이름대기 능력 손상 양상에 차이가 있으며, 이는 의미기억, 어휘-의미론적 처리과정 및 집행기능과 같은 다른 인지능력 손상과 관계된다. 따라서 대면이름대기 과제에서 오류유형과 정반응의 질적 분석은 MCI의 하위유형을 확인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Objective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subtypes due to their various patterns of cognitive impairment. This study carried out a confrontation naming test for three MCI subtypes (amnestic single-domain MCI [asMCI], amnestic multiple-domain MCI [amMCI], and non-amnestic MCI [non-aMCI]) and a normal elderly group to investigate differential naming performance. Methods: Ninety-six MCI patients (27 with asMCI, 39 with amMCI, and 30 with non-aMCI) and 30 elderly control subjects performed the K-BNT-15, a short version of the Korean version-the Boston Naming Test. The four groups were compared by total scores, error types (i.e., visuoperceptual, semantic, phonological, unrelated, and other error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correct responses (i.e., self-correction and time-delayed responses). Results: First, the total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amMCI and asMCI than in the normal controls and non-aMCI. Second, only the semantic error typ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MCI and normal elderly. Third, self-correction and time-delayed response ratios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MCI than in the normal elderly. In particular, time-delayed responses were frequently found in MCI subtypes with memory impairment, and self-correction responses were frequently found in MCI subtypes with other cognitive impairments.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MCI subtypes exhibit different patterns of naming deficits, which may result from a breakdown of semantic memory, lexico-semantic processing, or other cognitive abilities such as executive functions. Therefore, error types and qualitative analysis of correct responses in confrontation naming tests could be useful for identifying MCI subtyp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