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드라마는 특정 이데올로기를 재현하는 사회화 도구로서 기능하며 수용자에게 시각적으로 구현되어 내면화한다. 동시대 사람들 사이에서 암묵적으로 공유되는 젠더 담론은 드라마의 이야기 구조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며 사회적 의제로 만들어간다. 홈드라마는 가부장적 질서를 존속시키는 메시지 전달공간으로 기능한 대표적 장르이다. 1970년대까지 홈드라마의 젠더 담론은 전업주부로서 그려진 여성의 역할과 공적 영역의 주체여야만 하는 남성의 역할에 대한 의문은 이루어지지 않은 채 획일화된 성별분업형 역할을 충실히 재현해 낸다. 1980년대 후반 버블경제로 소비가 과열되는 가운데 홈드라마는 점차 감소하고 젊은 남녀의 연애와 일과 생활을 그린 트렌디 드라마가 급증하기 시작한다. 트렌디 드라마에서 표현하는 라이프스타일은 특히 현대 여성들에게 큰 공감대를 형성하며 삶의 변화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친다. 트렌디 드라마는 당시의 이데올로기를 가장 잘 반영하며 메시지를 전달한다. 일상생활과 가장 닮아 있는 드라마라는 장르는 알게 모르게 우리 삶의 모델이자 규범이 되어버린다. 기존의 일본사회를 지탱했던 가족구조에 대한 의문, 규범적인 젠더 담론의 균열을 일으킨다. 여성들은 자신들의 어머니세대가 꿈꿨던 안온한 가정의 주체가 아닌 사회적 주체가 되기 위해 노력하는 진취적인 여성 캐릭터에 훨씬 더 공감하며 자신을 투영해 간다.


Dramas serve as a tool for socialization representing certain ideologies and are visually implemented and internalized by their viewers or audiences. The gender discourses implicitly shared among contemporary people are naturally revealed in the narrative structures of dramas and turned into social agenda. Home dramas are part of a genre functioning as a space for delivering the messages sustaining the patriarchal order. Until the 1970s, the gender discourse in home dramas was focused on representing the uniform gender-specific roles without raising questions over the roles of males supposed to be the agents in the public domain as well as over those of females depicted as stay-at-home housewives. In the late 1980s, against the backdrop of overheated consumption in tandem with the bubble economy, home dramas declined whereas trendy dramas portraying young people’s love affair, work and life sharply increased. The lifestyle presented in trendy dramas won modern women’s empathy and impacted on the change of life to a great extent. Trendy dramas best described the ideologies and delivered messages of the time. As a genre akin to people’s everyday life, dramas knowingly and unknowingly prescribe some models and norms of our life. They question the conventional family structure underpinning the wider Japanese society, rupturing the normative gender discourse. Women choose to project and empathize with the images of progressive female characters exerting efforts to take the initiative in society instead of dreaming at home as the generation of their mothers used to do.


ドラマは特定のイデオロギーを再現する社会化の道具として機能し、視聴者に視覚的に具現されて内面化する。同じ時代の人の間で暗黙的に共有されているジェンダー談論はドラマの物語の構造の中で社会的な議題を作り出す。 ホームドラマは家父長制の秩序を存続させるメッセージを伝える空間として機能している代表的なジャンルである。1970年代までのホームドラマのジェンダー談論は専業主婦として描かれた女性の役割と公的領域の主体でなければ男性の役割に対する疑問は解決されないまま、画一化された性別分業の役割を忠実に再現する。 1980年代後半のバブル経済の消費が急増する状況でホームドラマは徐々に減少して、若い男女の恋愛と仕事、生活を描いたトレンディドラマが出現する。トレンディドラマで表現するライフスタイルは特に現代の女性たちに大きな共感を得られて、生活の変化に大きな影響を及ぼす。トレンディドラマは当時のイデオロギーをよく反映して、メッセージを伝えている。 日常生活と最も似ているドラマというジャンルは私たちが知らず知らずのうちに生活のモデルとして規範を作り上げるに至ったのである。既存の社会システムを支えていた家族の構造についての疑問、規範的なジェンダー談論の亀裂が生じる。女性は自分たちの母親世代が夢見た安穏な家庭の主体ではなく、社会的な主体となるために努力する積極的な女性キャラクターに共感し、自己を投影す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