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은 다산의 기호담론을 수양과 치료라는 축으로 놓고 논의한 뒤 그것의 교육 언을 알아보는 것이다. 다산은 인간의 본성을 기호로 해석했다. 이때 기호란 인간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부끄러워하는 마음이다. 그런데 이 기호는 선으로 기울 수도 있고 악으로 기울 수도 있다. 그래서 인간에게 선악에 한 올바른 선택을 요구한다. 한 이 기호는 선행은 어렵고 악행은 쉽다. 따라서 인간에게 악행과 선행 사이에서 선행을 요구한다. 이와 같은 선의 선택과 선의 실 천을 해 다산은 수양 장치를 고안하여 제시했다. 선을 선택하고 선을 실천하도록 하는 자발 훈련, 이것이 다산에게 수양이다. 이 길을 다산은 공구와 계신 그리고 신독에서 찾았다. 그 런데 이것들은 인간이 선악 에서 악을 선택하고 악을 행함으로써 얻게 되는 기호의 마비 증 상을 치료하는 장치로까지 나아간다. 이를 으로 해석해 보면, 이런 체제를 수양치료 패 러다임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패러다임은 수양 공부가 무한 교육을 비으로 바라볼 수 있게 해주고, 그것은 인간 본성에 한 자발 돌과 주도 치유의 길을 열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asan’s Ki Ho discourse via cultivation and therapy in order to understand its educational message. Tasan interpreted human nature as Ki Ho(translated as propensity in English). Ki Ho refers to a human tendency to like the good and dislike the evil. However, Ki Ho can incline to the good or the evil. This Ki Ho requires human beings to make the right choice between good and evil. According to Ki Ho discourse, performing good deeds is hard, but doing something evil is easy. Ki Ho requires humans to conduct good deeds rather then do evil. Tasan designed a cultivation device helping choice and practice of the good. For Tasan, self-cultivation is a self-directed training to choose and do the good. Tasan sought out this road in Kye Sin, Gong Gu, and Sin Dok. These systems evolve into a therapeutic device relieving the paralysis symptom of Ki Ho to choose and do the evil. We can call this system the paradigm of self-cultivation therapy. This paradigm helps us view modern education lacking Gong Bu from a critical perspective, in order to open the way to leading active caring and healing human n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