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학부생이 느끼는 읽기 불안을 불안 수준별로 나누어 불안 요인과 미치는 영향의 정도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 40명을 대상으로 Saito, Horwitz & Garza(1999)가 개발한 외국어 읽기 불안 척도를 사용하여 한국어 읽기 불안을 조사하였다. 그 후 읽기 불안 정도에 따라 불안 상중하위 그룹을 분류하여 불안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박현진·김정은(2017)에서 도출한 읽기 불안 요인 다섯 개를 근간으로 분석을 시도한 결과, ‘이해 관련 불안’, ‘외국어 읽기 관련 불안’, ‘어휘 관련 불안’ 요인에서는 불안 상>중>하위 그룹 순으로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문화 관련 불안’, ‘부정적 인식 관련 불안’에서는 불안 수준에 따른 그룹 간에 차이가 없었다. 또한 불안 상중하위 그룹과 문항별 및 요인별 읽기 불안의 관계에서는 불안 상위 그룹은 특정 문항의 영향을 받고 있었으며 하위 그룹은 여러 문항들로부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별 분석 결과에서도 불안 상위 그룹은 ‘이해 관련 불안’과, 불안 하위 그룹은 ‘이해 관련 불안’, ‘부정적 인식 관련 불안’, ‘외국어 읽기 관련 불안’ 순으로 영향을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불안 중위 그룹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읽기 불안의 증가,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불안 요인을 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외국어 읽기 관련 불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어휘 관련 불안’과 ‘이해 관련 불안’ 순으로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문화 관련 불안’, ‘부정적 인식 관련 불안’은 읽기 불안에 미치는 영향이 미미했다. 이 연구는 고급 수준의 한국어를 구사하는 학문 목적 학습자의 읽기 불안 수준에 따라 읽기 불안을 야기하는 요인이 다르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이다. 앞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학문 목적 학습자들의 다양한 학습 상황에서 불안 요인들을 조정하고 통제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본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tial effects of anxiety factors on the reading anxiety levels of Korean second language (L2) learners. As a follow-up study of Park and Kim (2017), the present study grouped 40 advanced Korean L2 learners in terms of their reading anxiety levels, as low, mid, and high. The five factors of reading anxiety were those arising from comprehension, foreign language, vocabulary, culture, and negative attitudes (Park & Kim, 2017). We observed whether each factor affected the learners’ L2 reading anxiety differently. The analysis found a significant group difference for the three factors, which were anxiety over comprehension, foreign language, and vocabulary, but no group difference was found for the other two factor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lso confirmed this result. We conclude that reading anxiety is a complex composite of factors, some of which affect reading anxiety more strongly than others, even when the learners show similar proficiency in the target langu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