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위험과 수익 간의 전통적 관점과 불일치하는 이상현상을 실증하고 이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국내시장 데이터로부터 실증한 결과, 대체로 전통적인 ‘high risk, high return’의 위험 대 수익 간 관계가 유지되나 가장 높은 총변동성 군 및 고유변동성 군에서 하락하는 패턴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알려진 체계적 요인인 장부가대시장가치(BM) 및 기업규모(Size)를 통제하더라도 일관되게 발생하였으며, 추가적으로 자본시장 개방을 전후로 한 하위기간 분석을 수행한 결과 최고 변동성군의 역전현상은 자본시장 개방 이전에는 나타나지 않다가 자본시장이 개방된 이후에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확인된 위험-수익 간 이상현상을 바탕으로 변동성을 기준으로 포트폴리오 정렬 후 균등 배분하는 안 및 가장 높은 변동성군의 배분비중을 하위 변동성군에 배분하여 도출한 새로운 국내주식 벤치마크를 검증한 결과, 신규 벤치마크 하에서 효율적 프런티어가 확장되며, 동태적 포트폴리오 리밸런싱 분석을 통해 샤프비율의 개선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스마트 베타 전략으로의 활용가능성 및 신규 벤치마크의 수립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고 판단되며, 향후 벤치마크 세분화를 통한 최근의 저수익 상황 및 투자운용전략 개선을 위한 사전적 연구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strategic application based on the empirical results of risk-return relationship against the classical concept. Empirical analysis from domestic data, we verify that the traditional concept-‘high risk, high return’ relationship are maintained, however, we confirm the falling pattern in the highest total volatility group. Even though we implies double sorting method to control the well known systematic factor such as BM and size, we still confirm such abnormal risk-return relationship. Furthermore, we perform sub-period analysis before and after the liberalization of Korean capital market and we find such abnormal risk-return relationship is appeared after the liberalization. Based on our empirical results, we establish and verify the new benchmark that evenly allocate highest volatility portfolio to sub-volatility portfolio. Under the new benchmark, we confirm the expansion of the efficient frontier and the improvement of Sharpe ratio. We believe that our results provide an applicability research of smart beta strategy and new benchmark based on such strategy. We expect our research to be used as preliminary study to overcome the era of “new normal” and to reform the investment strategies correspond to segmentation of benchmar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