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교육과정 성취기준은 교육의 목표 및 내용과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능을 갖고 있는 만큼 교육과정 총론의 철학을 구현하는데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 과학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을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학을 기반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마찬가지로 성취기준이 특정 범주 및 개념 이해에 집중되어 있다. 이는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의 성격 및 과정중심평가의 방향과 충돌하므로 다양한 활동과 탐구가 가능한 성취기준이 마련되어야 한다. 둘째, 5-6학년군 성취기준에서 상위인지가 3-4학년군보다 오히려 감소했으므로 학년에 따른 인지과정 차원의 체계적인 위계화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성취기준에 특정 서술어 사용 빈도가 높고 대부분의 서술어가 ‘이해하다’ 인지과정에 속하므로 인지과정의 다변화를 위해 성취기준 서술어 사용의 다양화와 명료화가 필요하다. 넷째, ‘내용+행동’으로만 진술된 현재의 성취기준은 교사가 현장에서 ‘방법’ 측면을 재확인 및 고찰해야 하는 어려움이 생기므로 성취기준 제시 형태에 대해 검토해야 한다. 다섯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으로서 2015 개정 교육과정 과학과 핵심 역량을 성취기준에 구체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과학과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미래 성취기준 개발에 대한 보다 정밀한 전략이 요구된다.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critical to implementing the philosophy of curriculum, as it has the ability to present the aims and goals of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evalu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according to Bloom’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hievement standards are focused on specific categories and understanding concepts, lik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ience curriculum. This conflicts with the nature of curriculum and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various achievement standards should be prepared for various activities and exploration. Second, meta-cognition in the 5-6 grade was less that it in 3-4 grade rather. Thus, the systematic stratification of cognitive processes according to the academic grade shall be considered. Third, because the frequency of a particular description is high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most of the descriptions are in the cognitive process of the ‘understand’, the diversification and clarification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s required for diversity the cognitive processes. Fourth, the current achievement standards stated only by the ‘content+action’ form have difficulties requiring teachers to review and consider them in class. Therefore, it shall be reviewed for the form of achievement standards statement. Fifth, the 2015 revise curriculum is a competency-based curriculum, so it needs to be specifically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Science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conclusion, a more precise development strategy is required for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future curriculum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Sc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