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케인스주의 위기 이론은 이윤율 저하가 아니라 유효 수요 부족을 위기의 원인으로 본다는 점에서 피상적이며, 이 때문에 1930년대 대공황이나 제2차세계대전 이후장기호황, 1970년대 이후의 구조적 위기와 신자유주의 대두 배경을 올바르게 설명할 수 없다. 또 케인스주의가 신자유주의에 대한 대응 전략으로 제시하는 자본 통제나 진보적 경쟁력론, 혹은 스웨덴 모델 벤치마킹 등은 실행 불가능하거나 자본주의헤게모니를 강화하는 데 기여한다. 케인스주의가 공유하는 “자본주의 이외 대안 부재론”은 아무런 근거가 없다. 반자본주의‧탈자본주의‧사회주의는 지난 세기와 마찬가지로 21세기에도 진보진영의 대안이다.


Keynesian theory is superficial in that it seeks the cause of economic crisis in the deficiency of effective demand rather than in the falling rate of profit. Keynesian theory fails to adequately explain the causes of following three important moments in the 20th century capitalism: Great Depression in the 1930s, so-called “Golden Age” after the World War Ⅱ, and the long downswing after the late 1960s. Keynesian recipes, such as capital control, progressive competitiveness or benchmarking of “Swedish Model”, are not feasible in the condition of neoliberal globalization, paradoxically contributing to strengthening its hegemony. So-called thesis of TINA(“There is no alternative to capitalism”), shared by Keynesianism, is simply groundless. Progressive alternative for the 21st century should be anti- and post-capitalist socialism, as it had been in the last century.



키워드열기/닫기 버튼

케인스주의인가, 21세기 사회주의인가?

Keynesianism or Socialism for the 21st Centu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