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무교와 불교는 상호영향을 주고 받으며 발전했다. 이런 현상은 음악에서도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황해도 청배무가인 <만세바지>와 불교 노래인 <화청> 및 <회심곡>을 비교하면 이런 상호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만세바지>는 굿거리의 첫머리에 신을 굿판에 청하는 무가이기에 굿에서 가장 신성하고 중요하게 여겨지는 노래이다. 그렇기에 <만세바지>는 황해도 굿음악의 가장 중요한 음악적 특성을 간직한 것이다. <화청>과 <회심곡>은 우리말로 된 노래를 부르는 불교 노래이기에 외래음악어법으로 된 범패와는 달리 우리 음악의 어법을 전승하는 노래이다. 그러므로 이 둘의 음악적 상호연관성을 밝히는 것은 무교 문화와 불교 문화의 상호습합 과정을 규명하는 것이다. 황해도 <만세바지>에는 불교의 철학과 사상을 반영하는 노랫말이 많이 나타난다. 무가는 불교 가사와 <화청> 및 <회심곡> 등의 노랫말을 차용하거나 변형하거나 확대하여 새로운 노랫말을 만들어낸다. 황해도 <만세바지>는 주로 경토리로 되어 있지만 가창자의 연행맥락에 따라 수심가토리가 섞이기도 한다. 그러나 경제 <화청> 및 <회심곡>은 본래 서도음악권에서 형성되어 수심가토리로 된 것이 경기도로 전파되면서 경토리가 섞이기도 한다. 황해도와 경기도는 음악적 교류가 활발했기 때문에 수심가토리와 경토리가 혼용되는 양상을 보인다. <화청> 및 <회심곡>과 <만세바지>는 혼소박 4박(3+2+3+2의 10소박) 또는 혼소박 6박(3+2+3+3+2+3의 16소박)의 장단으로 되어 있다. 이런 리듬구조는 고려시대 음악과 조선시대 가곡의 장단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갖는다. 고려시대의 음악과 가곡은 3+2+3+3+2+3의 16박을 기본으로 하는 장단이다. 가곡은 조선 중기 이후 2점 1박의 리듬을 ‘엮는[編]’ 방식의 1점 1박의 리듬으로 10점 10박의 편장단이 만들어진다. 이런 리듬구조의 원리는 <화청> 및 <회심곡>과 황해도 무가 <만세바지>에도 적용된다. 그러므로 가곡, <화청> 및 회심곡, 황해도 무가 <만세바지>는 모두 16(소)박 / 10(소)박의 리듬구조를 가졌다는 점에서 상호연관성을 찾을 수 있다. 황해도 무가 <만세바지>는 <화청> 및 <회심곡>과 가사, 토리, 장단 등의 음악적인 면에서 많은 영향을 받아 형성되었다. <만세바지>는 굿거리의 첫머리에 신을 굿판에 모시는 청배무가로서 신성시되고 중요한 노래이다. 이런 무가에 불교음악이 영향을 미친 것은 불교와 무교가 상호습합하는 현상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사례라 할 것이다.


Shamanism and Buddhism have long been influenced each other in many aspects for a long time. This interrelationship of the two religions can be found in their music. In this paper, I will explore the interrelationship of music; Manse baji, the ushering song of Hwanghae provincial shamanism and Hwachong and Hoesimgok of Buddhist songs. Manse baji is regarded as the sacred and the most important song in Hwanghae shamanism because it ushers the deities into the ritual place. Hwacheong and Hoesimgok have the Korean texts and musical idiom, different from other Buddhist music which has the Chinese or Sanscrit texts. In this way, the research of the two religious music will light on the interrelationship of the two religion. There are so many Buddhist contents in Manse baji. The shamanic songs have borrowed words from the Buddhist songs and make their own texts. Manse baji has pentatonic scale with Gyeong tori, the musical idiom of Seoul area, mixed with Susimga tori, the musical idiom of northwestern area. Hwacheong and Hoesimgok are originally in Susimga tori but has mixed with Gyeong tori in the process of musical migration into Seoul. Both music have rhythm of mixed 4 or 6 meter, consisting of 3+2+3+2 or 3+2+3+3+2+3 beats. This kind of rhythm was originally formed during the Goryeo dynasty (918-1392). It has transmitted into the gagok (lyric song cycle) with 16-beat and 10-beat rhythmic cycles. In other words, the rhythmic structure of the two religious music and gagok have close interrelationships. In short, Hwanghae shamanic song, Manse baji, and Buddhist songs, Hwacheong and Hoesimgok have interrelationships in many aspects, especially in their texts, musical idiom, and rhythmic cycle. As Manse baji has much musical influence from Buddhist songs, the music of the Shamanism and Buddhism have close interrelationship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