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행복추구경향화에 따른 행복지수와 스트레스상황 대처반응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강원도를 제외한 전국에 거주하고 있는 대한민국 20세 이상 60세 미만 성인 111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이용해 빈도분석, 신뢰도검증, T-test 검증, ANOVA 검증, 상관분석,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과 학력에 따른 행복지수의 차이는 보이지 않았지만 연령, 결혼, 종교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응답자 전체의 행복지수는 의미추구경향과 몰입추구경향의 행복추구경향 하위유형과 상관관계가 있었고 과업중심과 정서중심의 스트레스상황 대처반응 하위유형과 상관관계가 있었다. 셋째, 행복지수 상위 33.3% 집단과 하위 33.3% 집단의 행복추구경향성은 의미추구경향과 몰입추구경향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스트레스상황 대처반응은 과업중심과 정서중심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넷째, 행복지수에 영향을 주는 변인은 의미추구경향, 기혼, 정서중심과 과업중심 스트레스상황 대처반응에 해당하는데 의미추구경향이 높고 기혼이며 정서중심 스트레스상황 대처반응이 낮고 과업중심 스트레스상황 대처반응이 높을수록 행복지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 연구의 시사점과 앞으로의 논의부분에 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related to happiness index and stressful situations coping reaction according to orientations to happines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11 Korean adults aged 20 to 60 years. Data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e, Cronbach's alpha, independent samples t-test analyses, ANOVA analyses, Pearson's correlation,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happiness index,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gender and education level, but there were significants differences in age, marriage and religion. 2) In orientations to happiness, happiness index of the participants were related to pursuit of meaning and pursuit of engagement. In stressful situation coping reaction, happiness index of the participants were related to task coping and emotion coping. 3) In orientations to happiness, there were significants differences in pursuit of meaning and pursuit of engagement between 33.3 percent of high group and 33.3 percent of low group according to happiness index. In stressful situation coping reaction, there were significants differences in task coping and emotion coping between 33.3 percent of high group and 33.3 percent of low group according to happiness index. 4)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ursuit of meaning, married people, task coping and emotion coping had influence on the happiness index of Korean adults. Finally, it discussed some implications and suggested some limits of this study and follow up stud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