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경험 회피 또는 수용을 측정하는데 널리 사용되는 수용과 행동 질문지 제2판(AAQ-II)의 요인구조와 문항 적합성 및 응답 범주수의 적절성을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2,034명의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이 작성한 AAQ-II의 응답자료에 대해 탐색적 및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문항반응이론을 적용하였다. 그 결과, 두 문항의 측정오차 간 상관을 허용한 6개 문항의 1요인 모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밝혀졌다. 10개 문항의 1요인 모형과 상관 2요인 모형, 7개 문항에 대한 1요인 모형과 8개 문항에 대한 1요인 모형은 측정오차 간 상관을 허용하는 방법으로 모형 수정을 하더라도 합치도가 나쁘거나 미흡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인분석 결과들에 기초하여 제외된 AAQ-II의 4개문항들은 문항반응이론 결과에서 문항 적합도 또한 부족한 것으로 보고되었다. 아울러, 피검사자들은 대부분의 문항들에서 원래의 7개범주를 의미있게 구분하지 못하였으로 응답 범주의 수를 축소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결론적으로, 이 결과들은 AAQ-II가 6개 문항의 단일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이 구조적으로 타당함을 시사하며, 앞으로의 연구들에서는 5점 평정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추천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 structure of th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 (AAQ-II) using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Additionally, it evaluated the adequacy of its items and the number of response categories using item response theory (IRT). Participants consisted of 2,034 old adults dwelling in a community. A one-factor structure with covaried error terms was supported for six AAQ-II items. In contrast, the one-factor models in the 10-, 8-, and 7-item AAQ, as well as a correlated two-factor model, provided poor or inadequate fits, even after model modification. The four items of the AAQ-II excluded on the basis of the factor analyses also provided poor item fit based on the IRT. In addition, it was recommended to reduce the number of ratings for all items, instead of utilizing the 7-point rating used in the original AAQ-II scale. In conclusion, the six-item AAQ-II appears to be a unidimensional scale to measure experiential avoidance, and it is recommended to assess the applicability of a 5-point rating scale of AAQ-II items in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