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무선통제연구 결과는 심리치료가 실제로 목표한 효과를 이끄는지 심리치료와 효과 간의 인과적 해석을 하는데 표준기준이 된다. 이에 무선통제연구결과는 심리치료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될 뿐 아니라, 공공정신건강 영역에서 효과적인 심리치료 서비스를 선별하는데 주요 지침이 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 보고된 심리치료 무선통제 연구를 학회지와 기간별(1983-2003, 2004-2006, 2007-2011, 2012- 2015)로 체계적으로 리뷰하고,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의 질적 평가 척도’(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sychotherapy Quality Rating Scale, RCT-PQRS)를 사용하여 무선할당연구의 질을 평정하였다. 최종적으로 91편의 무선할당 연구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무선통제연구를 적어도 5편 이상 출간한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가 국내에서 심리치료 무선할당 연구를 보고한 주요 학술지로 선정되었다. 학회지와 기간별로 무선통제연구의 특성(예, 연구 참가자 특성, 심리치료 특성)과 질을 분석한 결과, 국내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의 특성은 대부분 기간별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국내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는 학회지별로 출판시기, 연구 참가자의 진단 여부와 진단 범주, 처치집단과 비교집단에 대한 처치의종류, 비교집단의 특성에서 모두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한국심리학회'에서 출판된 연구들은 그렇지 않은 학회지의 연구보다 무선통제연구의 질이 더 높았다. 그리고 국내 심리치료 무선통제연구의 전반적인 질은 기간이 지남에 따라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국내 심리치료 연구 결과를 게재하는 주요 학회지와 심리치료 연구자들이 앞으로 고려해야할 사항들을 제시하였으며, 임상가 및 공공 정신건강 정책 관련 전문가들에게 효과적인 심리치료 서비스에 대한 양질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Randomized controlled trial (RCT) is one of the gold standards of evidence for efficacy of psychotherapy that allows causal interpretations between a specific psychotherapeutic approach and outcomes. Thus, results from the RCTs are considered a basis for determining which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should be delivered to the public. In the current study, we aimed to systematically review psychotherapy RCTs conducted in South Korea and to analyze them according to the journals published in and their publication periods (i.e., 1983-2003, 2004-2006, 2007-2011, and 2012-2015). In addition, we have evaluated the quality of RCTs by employing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sychotherapy Quality Rating Scale (RCT-PQRS). A total of 91 RCT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current analysis. Four journals (i.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and Korean Journal of East West Mind Science)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since they published at least five RC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tudy characteristics (e.g., sample characteristics, types of psychotherapy) between the research periods whereas RCT quality scores have increased over time. Overall, RCTs published in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PA) Journals had greater RCT quality scores than those published in non-KPA Journals. In terms of the analysis of published journal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y characteristics (e.g., sample characteristics, types of control groups, types of psychotherapy) between journals. Several issues and implications are discussed for researchers and policy makers in order to enhance quality of RCTs and to disseminate evidence-based information about efficient psychotherapeutic approaches to the publ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