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ost-2020 Climate Change Regime is the new climate agreement to replace Kyoto Protocol. Unlike the previous agreement that put most responsibility to developed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are now equally responsible. Also, the importance of adaptation is as significantly discussed as carbon reduction is. Korea actively involves in this agreement, by officially claiming carbon reduction target and attending international climate agreement like COP21. Domestically, there is ‘The 2nd National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is in progress. At this point, participation to GCF business development can be a good chance for environmental industry. This paper primarily investigates legal policies that would better adapt to the revision of 「Enforcement Decree of the Framework Act on Law Carbon, Green Growth」 and Post 2020. In addition, GCF's legal status is defined and the result of recent 10th GCF board meeting is summarized to discuss the risks of GCF businesses and participation of environmental industry to these projects. GCF project development for overseas expansion of domestic industries is needed. The Government is developing a project of generation from waste landfill gas to reduce emission of developing countries. Also contacting the NDA(National Designated Authority), explaining our project development direction, checking the interests of the involved country, and asking for support from the NDA is needed. Also, feasibility check of the economic, environmental, and legal aspect is needed. Cost-benefit analysis, internal return rate analysis and sensitivity analysis can be methods of economic feasibility check. Establishing and evaluating mid, long-term investment plans are also important. For environmental feasibility check, environmental effects evaluation will be the effective. Establishing environmental effect reduction methods can be another solution. Laws regarding licensing and facility installment and operation are also needed to be checked. Under post 2020 system, Korea should properly revise carbon trading policy, disaster preparation policy, law for disaster prevention insleep sloped regions, coast management act and regulation on facility installment and operation. However, the agreement about the Post-2020 Climate Change Regime was not concluded by the COP21. Therefore, a specific discussion about the enactment and amendment is difficult. It is a limitation of this study. Finally, this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ost 2020-based enaction of Special Act on Energy Business Development and Climate Change Adaptation Law.


신기후체제는 교토의정서를 대체할 새로운 기후변화협약이다. 선진국만을 대상으로 의무를 부여했던 기존 협약과는 달리 선진국과 개도국에 똑같은 책임을 요구한다. 또한 적응의 중요성이 감축만큼 부각되고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한국도 대외적으로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내걸기도 하고, COP21 등 국제 기후변화 협상에도 참가하고 있다. 대내적으로는 특히 ‘제2차 국가기후변화 적응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한국이 사무국을 유치한 GCF 사업개발에의 참여는 환경산업계에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저탄소녹색성장기본법 시행령의 개정과 신기후체제에 적합한 법정책을 연구했다. 또한 GCF 법적지위확립에서부터 최근 제10차 GCF이사회의 결과를 정리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GCF사업개발의 유의점과 환경산업계의 프로젝트 참가에 대한 논의를 분석하였다. 요컨대, 국내 산업계의 해외진출에 적합한 GCF 사업개발이 필요하다. 정부는 개도국의 온실가스 감축을 위하여 폐기물 매립지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발전하는 사업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사업대상국 국가지정기구(NDA, national designated authority)와 접촉하여 우리측 사업추진방향을 설명하고, 상대국 관심사항을 확인하고, NDA로서 사업지지를 요청하여야 한다. 그리고 연구를 통해 경제성, 환경성, 법적 측면의 타당성 검토가 수반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경제성 검토의 방법으로는 비용-편익 분석, 내부수익률 분석, 민감도 분석이 있을 수 있다. 중장기 투자계획을 수립하고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다. 환경성 검토를 위해서는 환경영향평가를 활용하는 것이 유효하다. 또한 환경영향저감방안을 수립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허가 등 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령도 검토해야 한다. 한편, 한국이 신기후체제를 기회로 삼기위해서는 배출권거래제도, 급경사지 재해예방에 대한 법률, 연안관리법, 인허가 등 시설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령의 개정 방향이 중요하다. 다만, 아직까지 COP21을 통한 신기후체제에 관한 합의점은 나오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법 제정, 개정의 구체적인 논의는 어렵다는 것이 이 연구의 한계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에너지신산업육성특별법’과 ‘기후변화적응법’의 제정도 신기후체제에 적합한 방향성을 지녀야 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