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Perhaps no other nation which remains under communist rule is more ironic, disturbing and intriguing as that of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hereinafter ‘DPRK’ or ‘North Korea’). Given the complex intersection between different international legal standards, it is necessary to bring attention to the refugee crisis facing thousands of DPRK citizens who flee their homeland each year. An analysis of the legal system of a nation provides an additional outlook to the views afforded by traditional international studies scholars, who typically apply sociological, economic or political lenses to analyze relationships between agencies and actors, the allocation of resources, or power struggles within different hierarchy systems. Although these frameworks are certainly valid and applicable in coming to an understanding of the DPRK’s horrendous abuses of human rights, identifying what is novel about the North Korean legal system which is based on socialist law is essential and that will help further the comprehension of the intricate relationship between the DPRK constitution and its abuse of human rights. North Korea defines its law as ‘law of the socialist society and national sovereignty that perform a function of the proletarian dictatorship’.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keep in mind such a difference in analyzing North Korean laws, for North Korea’s concept of law and its function is quite different from that of other law-governed countries, such as South Korea. Thus, this paper attempts to perform a systematic examination of the constitution of the DPRK, the underlying ideology which continues to legitimize the existence of such a state, and implications as well as solutions regarding the North Korean refugee crisis in China. In doing so, this paper will also incorporate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by applying the lenses of constitutional law, international law, and human rights law to provide a comprehensive view of the North Korean refugee crisis.


탈냉전 이후 북한은 유일하게 “주체사상”을 강조하며 그들만의 체제 단속을 강화하는 등 북한 주민들에 대한 인권 탄압을 자행해 왔다. 더 나아가 매해 급증하는 탈북 난민들과 그들의 인권유린 실태는 계속해서 국제적인 우려와 비난을 사고 있다. 인권 개념의 차이와 정치적 입장의 차이로, 여러 학자, 전문가, 및 국제기관들이북한 난민 인권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 분석을 내놓았다. 국제사회에서의 북한 난민 인권 개선을 목적으로 다양한 목표와 전략 및 활동을 펼쳐왔지만, 이러한 노력이 과연 북한 인권 개선에 효과가 있었는지에 대해서는 알 수 없다. 필자는 이러한 연구에 앞서, 국제법과 인권법을 통한 북한의 헌법 및 주체사상의 총체적인 이해가 우선시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일반적으로 헌법규범의 의미와 내용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 국가의 헌법사적, 헌법 사상적, 또는 헌법 사회화적 등의 고찰이 요구된다. 더 나아가 그 개념을 여러 각도에서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북한 정부의 주체사상 및 그들이 정의하는 인권 개념에 대해 좀 더 깊이알아볼 필요가 있다. 이들의 관계를 폭넓게 이해함으로써, 탈북 난민들의 인권실태 및 국제 인권법에서의 정책제안도 가능해진다. 위와 같은 종합적인 이론적 분석을 시도하는 동시에 UN 인권위원회의 세계인권선언 및 정책을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제안과 그 현실성에 대해 심층 분석해 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하나의 분야에 국한하지 않고 헌법, 국제법, 그리고 인권법의총체적인 이해를 북한의 주체사상과 연결하여 탈북난민 실태에 대해 다양한 개선정책을 생각해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