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주요 교과인 국어, 수학, 사회 교과서의 학습내용을 디지털콘텐츠 형태의 학습활동으로 개발하는데 적합한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1 개정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초등 교과서에 수록된 2,239개의 교육활동을 대상으로 최근 디지털콘텐츠 개발에 많이 활용되는 학습모듈 설계(Learning Module Design)개념을 기초로 그 유형을 분류하고, 디지털콘텐츠로의 개발에 적합한지에 대해 분석·기술하였다. 또한 이를 기초로 향후 장애학생에게 적합하고 효과적인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위한 과제도 함께 제안하였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초등교과서에 수록된 2,239개의 교육활동 중 198개(8.8%)의 교과활동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교육활동은 스마트기기에서 지원하는 대표적 기능과 관련된 5가지 유형의 학습모듈로 분류되었다. 둘째, 국어교과와 사회교과는 ‘재생형'의 학습모듈로 분류된 비중이 높았고, 수학교과는 ‘선택형’의 학습모듈로 분류된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기존 특수교육 기본교육과정 교과서에 수록된 주요교과의 학습활동 대부분은 학습모듈 설계에 기초한 디지털콘텐츠 형태로의 개발에 적합하며 각 교과의 특성에 따라 학습모듈의 비중이 다르게 나타나 교과의 특성이 반영된 디지털콘텐츠 개발도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향후 과제로서 장애학생에게 적합하고 효과적인 디지털교과서 개발을 위해 장애학생과 일반학생이 모두가 사용하는 공통의 디지털교과서 개발 지침 수립과 디지털교과서 적용 적합한 교육환경 조성 및 정책적 지원 체계 구축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ntents of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social textbooks, which are the main subjects of the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2011, ar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learning activities in the form of digital contents. To this end, the 2,239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ed in the 2011 revised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elementary textbook were classifi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rning module design concept which is widely used in digital contents development. Respectively. Based on this, we have proposed the future development of digital textbook suitable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ut of the 2,239 educational activities included in the elementary textbooks, except for the curriculum activities of 198 (8.8%), approximately 91.2% of the learning activities among 2,239 educational activities were classified into five types of learning modules, Less than 10% of learning activities were not supported by smart devices. Second, the proportion of 'playback type' was high in Korean language and social studies subjects, and 'selective type' was high in mathematics subjects. In conclusion, most of the learning activities of the main subject included in the textbooks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education curriculum are suitable for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form based on the learning module design. and The proportion of learning modules can var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subject, It is possible to develop digital contents reflected. To this end, it is required to establish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common digital textbooks used by bo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general students, to create a suitable educational environment for applying digital textbooks, and to build a policy support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