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우리 고시가 작품들에서 빈번히 나타나는 감탄사의 성격 일반을 살펴본 것이다. 감탄사는 시의 형식과 내용에 모두 기여하는데, 시적 언어로서 그리고 시적 담화의 화용적인 측면으로서의 의미작용뿐 아니라, 그 자체가 하나의 형식 혹은 형식적 지표가 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특히 감탄사는 자의성이 적고 구어적으로 제각기 실현되는 것이지만 시가 작품 내에서는 문어처럼 일정하게 통일된 기호표현으로 나타나는데, 이는 감탄사가 향유집단에 의해 학습되고 공유되어 관습화되는 것임을 밝혔다. 다음으로 장르별로 감탄사의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면서 이를 바탕으로 고시가 감탄사의 지속상과 변화상을 살펴보았다. 지속적인 성격으로는 감탄사 본연의 정서의 표백이란 성격 외에, 형식구성과 의미작용 그리고 리듬효과에 기여하고 있음을 밝혔다. 변화상으로는 두 가지가 지적되었다. 첫째는 구어적 성음과 유사한 형태의 감탄사가 후대로 내려올수록 문어적 실사의 형태를 보인다는 점, 둘째는 장르의 변천에 따라 감탄사의 사용 빈도가 낮아지는 경향을 보인다는 점 등이다.


This study considered the general character of the exclamation that often appears in Korean old poetry. The exclamation contributes both to the form and content of poetry. Not only the meaningful function of poetic discourse, but also itself is a formal indicator. The exclamation is basically realized spoken. However, it appears in the work as a unified symbolic expression. This means that the exclamation is learned and customized by the enjoying group. Next, I looked at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exclamation by genre. Based on this, I examined the continuing and changing aspects of korean old poetry. The continuing character is that the exclamation has contributed to the formal composition, meaning, and the rhythmic eff ect of the poem. Two aspects of change have been pointed out. First, the exclamation of a form similar to a spoken vowel changes over time as a form of vocabulary that has real meaning. Second, the frequency of use of the exclamation tends to decrease with the change of gen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