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의 목적은 해방 이후부터 2011 개정 교육과정까지 한국사교과서의 단원 도입부가 어떻게 변화해 왔는지를 분석하려는 데 있다. 한국사교과서 단원 도입부는 한국사 수업에 많은 영향을 끼친다. 단원 도입부는 해당 단원의 시대적 배경, 핵심 사건이나 인물, 시·공간의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 학습자에게 흥미를 불러일으키거나 문제의식을 이끌어내는 등 역사적 사고력을 높이는 데에도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사전 작업으로 해방 이후부터 2011 개정 교육과정까지 한국사교과서의 목록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목록의 한국사교과서의 단원 도입부가 변화해 온 이유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교육과정의 변화, 집필진의 구성 요인, 역사학과 역사교육학 연구 성과의 축적, 출판사 및 편집진의 기술 축적, 출판 및 편집·인쇄 기술의 발달 등 여러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 중 본고에서는 가장 중요하다고 판단되는 교육과정의 변화와 집필진의 구성 요인을 중심에 놓고 각 교육과정별로 한국사교과서의 단원 도입부를 분석하였다. 교육과정 이전 시기부터 2011 개정 교육과정까지 교육과정의 한국사 관련 내용은 변화해 왔다.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6차 교육과정까지의 한국사교과서는 교육과정의 변화를 제대로 수용하지 못하였으며, 이는 제3차 교육과정부터 20년 넘게 지속된 국정 발행 체제가 가장 큰 이유로 작용하였다. 제7차 교육과정부터는 교육과정의 변화가 대폭 수용되었고, 3번의 검정 발행을 거치며 한국사교과서 체제는 다양하게 발전해 나아갔다. 이러한 발전에는 집필진의 구성도 큰 영향을 주었는데 제6차 교육과정까지 집필진의 구성은 사학 전공자 일색으로 이들은 한국사 연구 성과를 교과서에 반영하는데 초점을 두었다. 제7차 교육과정부터는 집필진의 구성이 사학 전공자 이외에 역사 교사, 역사교육 전공자 등 역사교육의 다양한 전문가 집단이 참여하며 역사서가 아닌 교과서로서 한국사교과서를 개발해 나아갔다. 이에 따라 단원 도입부도 대단원에서 중단원으로, 다시 중단원에서 소단원으로 영역을 넓혀갔으며, 최근에는 각 한국사교과서의 대단원·중단원·소단원이 각기 다르게 활용되며 발전을 거듭하고 해오고 있다. 한국사교과서내 단원 도입부는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고, 배경 지식을 제공하고, 문제의식이 생기게 하여 역사적 사고력이 향상되는 등 역사교육의 목적을 달성하는 방향으로 발전해 갈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how introductions of lessons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transformed since the independence to 2011 revised national curriculum. Lesson introductions in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a strong influence on Korean history classes. They provide historical backgrounds including historical events and characters, and important issues of certain time and place. They also enable learners to develop historical thinking by motivating them and questioning them. The list of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since the independence to 2011 revised curriculum has been confirmed in advance. It is to understand why introductions of lessons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have changed. The variation is affected by many aspects such as the adjustment of the curriculum, the organization of the writers, the accumulation of studies of history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n publishing and printing industry. In this research, introductions of lessons are analyzed in regard of the variation of the curriculum and the organization of the writers which are considered the most important among all. History teaching in the curriculum has changed until 2011 revised curriculum. Korean history textbooks did not adapt the modification of the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to the sixth curriculum, which was mainly in result of twenty more years of the government-published textbooks started in the third curriculum. Those changes in the curriculum was adjusted a great deal from the seventh curriculum, leading to various Korean history textbook systems through several textbook authorization system. The organization of the writers played an important role. The writers of the Korean history textbooks until the sixth curriculum were mostly history majors, who put the most emphasis on the demonstration of Korean history researches on the textbooks. The writers from the seventh curriculum have been formed with many experts in Korean history education including Korean history teachers and Korean history education majors along with Korean history majors. Hence, Korean history textbooks began to work as Korean history 'textbooks' not 'Korean history' textbooks. Recently, lesson introductions were adopted and extended to smaller sections. All other small parts of a lesson are employed variously and developing. It is expected that introductions of lessons of Korean history textbooks would achieve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by motivating the learners' interest, providing background knowledge, and helping the learners think critically by historical think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