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고려 말 토지제도 개혁에 대한 연구를 재검토하여 연구의 진전을 위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한다. 기존 연구는 한국 중세사회의 성격과 전개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핵심적인 설명을 제고한다는 점에서 연구사적으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럼에도 개혁에 대한 평가가 당대인들의 인식과 괴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연구의 결과 역시 조선 전기 경제사의 실제 전개 과정과 부합하지 않는다. 토지제도 개혁에서 가장 핵심적인 주장은 사전을 혁파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사전을 혁파하는 조치로부터 비롯된 개혁은 사전에 근거한 고려의 토지제도를 전객과 이들이 경작하는 소경전에 기초하는 것으로 완전히 탈바꿈시키는 과정이었다. 고려 말의 경제적 사회관계는 제도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조선 초까지 지속하며, 그 사이의 괴리가 조선 전기 경제사의 전개를 규정한다.


This paper reviews the research on land reform in late Goryeo, and looks for new ways to advance the research. The existing research has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research history in that it provides a key explanation for understanding the character and development of the Korean medieval society. Nevertheless, not only is the evaluation of reforms diverging from the perceptions of the contemporaries, but als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not in line with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history of Joseon. The most important argument in the reform of the land system was that the private-land[私田] had to be abolished. The reforms were a process of completely transforming the land system, from which based on the private-land to which based on the sogyeongjeon[所耕田] and jeongaek[佃客] who cultivated the land. The economic and social relations of Goryeo continue until the beginning of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institutional change, and the gap between them defines the unique development of economic history of early Jose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