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실태와 형황 그리고 감정노동과 신체적 불편감, 소진, 우울 그리고 사회적 지지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전국 42개의 병원에서 총 1,316명의 간호사가 참여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의 실태, 현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거친 후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자료는 t-test, 일원분산분석,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98%의 간호사가 감정노동 경험이 있다고 응답하였고 연간 82회, 지난한달 동안 9.6회, 즉 이틀에 한번 정도 감정노동을 경험한다고 응답하였다. 감정노동을 유발하는 대상자는 환자, 보호자, 의사, 상사 그리고 동료순으로 나타났다. 80%의 간호사는 감정노동을 경험 한 후 이직의도가 있다고 하였다.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은 화를 참는 것과 잘못이 없지만 상황을 무마하기 위해서 대상자에게 사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는 감정노동 표면행위를 진심행위보다 더 많이 하였다. 결론: 한국의 임상간호사는 매우 높은 정도의 감정노동을 경험하고 있으며, 대상자 간호에 필요한 시간부족으로 대상자의 요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없는 것이 감정노동의 주요원인으로 나타났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ality, status of clinical nurses' emotional labor and the relationship with physical discomfort, burnout,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Methods: A thousand three hundred sixteen clinical nurses from 42 hospitals nationwide participated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eveloped for evaluating the reality and status of emotional labor of clinical nurses after interviewing focus groups and reviewing literatures.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Ninety eight percent of nurses had answered having emotional labor and they experienced 82 times per year, 9.6 times during last a month which means they experience it every other day. The one who provoke emotional labor were patients, guardians, physicians, supervisor, and colleagues in sequence. Eighty percent of nurses had intention to leave their jobs after experiencing emotional labor. They were doing more surface acting tha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Conclusion: Clinical nurses in Korea experienced excessively high level of emotional labor and delayed responding to clients' requests due to lack of time for caring each patient was revealed as one of the main causes of emotional lab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