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통도사 금강계단의 중수 기록 및 관련 문헌 자료를 토대로 그의 변화 양상과 금강계단의 기단부에 새겨진 조각상의 圖像 명칭 및 제작 시기를 살펴본 논문이다. 통도사 금강계단의 기단부에 부조된 도상의 명칭은 중수기의 기록과 『계단도경』의 내용과의 비교를 통해, 하층의 부조상은 諸神王像, 상층부조상은 七星神像, 네 모서리의 조각상은 大神像으로 추정된다. 특히, 금강계단 사면에 설치되었던 계단의 소맷돌에 부조된 금강역사상에서 ‘日光曜神’, ‘…□王神’, ‘…羅王神’ 등의 명문판독을 통해 이들 명칭이 『계단도경』에서 확인되는 금강역사상의 명칭과 동일하다는 사실을 밝혔다. 중수기와 현재 통도사 금강계단의 형태를 비교해 볼 때 지금과 같은 금강계단의 전체 모습은 1705년 중수 당시의 것을 유지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후 중수 과정에서 부분적인 변화가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기단부 하층의 제신왕상 중 일부와 소맷돌의 금강역사상은 1705년 혹은 1652년에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하층 제신왕상 일부와 상층의 칠성신상 및 석종탑신은 1705년, 그리고 하층의 제신왕상과 함께 배열된 불상은 1838년 또는 1872년 중수 당시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불상은 남면에 2구, 동․서․북면에 1구씩 부조되어 있는데, 이 위치는 계단이 있던 자리로 불상을 교체하였던 1828년 혹은 1872년에 계단을 제거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즉, 이 시기 전까지 통도사 금강계단에는 남면에 2개의 계단, 동․서․북면에 각기 1개씩의 계단이 설치되어 있었다. 더불어 상층기단의 칠성신상의 경우 석재의 배열을 통해, 1705년 조성된 이후 후대 중수 과정에서 교란된 현상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재의 통도사 금강계단은 『계단도경』에 기록된 계단의 모습을 토대로 조성된 것이며 , 19세기에 이르러 사방의 계단을 제거하고, 일제강점기에 다시 부분적인 변화가 있었다. 특히 『계단도경』과의 관계에서는 경전에서 제시한 계단 사방의 층계 수와 소맷돌에 부조된 금강역사, 그리고 그 역사의 명칭까지도 그대로 구현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cords and literatures related to the repairing of Diamond ordination platform(金剛戒壇) in Tongdosa and investigate its changing aspects and also the names of the statute icons carved on its stylobate and time of their production. Regarding the names of the icons embossed on Tongdosa Diamond ordination platform’s stylobate, this author has compared the records of its repairing period and the contents of 『Gyedandogyeong(戒壇圖經)』 and estimated that the lower part’s relief (下層浮彫像) is many kinds of statues(諸神王像), the upper part’s reliefs are the statues of Chilseong(七星神像), and the statues on its four edges(大神像). Particularly on the statues of Vajrapani embossed on Somaetdol of its stairs (階段), the names of the Geumgangyeoksa statue, for example, ‘Ilgwangyosin (日光曜神)’, ‘…□wangsin (…□王神)’, or ‘…rawangsin (…羅王神)’, are carved, and these names are also identically found in the statues of Vajrapani included in 『Gyedandogyeong』. Comparing the forms of Diamond ordination platform in Tongdosa between the repairing period and now, the overall aspects the Diamond ordination platform has now are from the time of repairing in 1705, and with repairing since then, it has changed partly. Part of many kinds of statues(諸神王像) on the lower part of the stylobate and the statue of Vajrapani on Somaetdol should have built in 1705 or 1652. Part of many kinds of statues(諸神王像) on the lower part, the Chilseong statue on the upper part, the statues on its four edges, and the body, shape of bell, of stone stupa should have built in 1705. Also, the statues of the Buddha arranged with the many kinds of statues on the lower part are estimated to have been built in 1838 or 1872, the period of repairing. In particular, two Buddha statues are on the south, and one is carved in relief on the east, west, and the north. The positions are where the stairs used to be, and in 1828 or 1872 when the Buddha statues were replaced, the stairs seem to have been eliminated. In other words, before then, there were two stairs on the south and one stair on the east, west, and the north in Tongdosa Diamond ordination platform. Also, concerning the Chilseong statues on the upper stylobate, with stone arranged, we can see some disturbance phenomena resulted from repairing afterwards from the time it was built in 1705. Through records about the stairs in 『Gyedandogyeong』, this author has found the existing Diamond ordination platform in Tongdosa was built in the 18th century, the stairs were removed in the 19th century, and it changed partly again in the period of the Japanese rule. The original form of it in Tongdosa at the time of its founding is hard to be estimated only with existing materials. In Silla, however, architecturally, they built the stylobate of Gagusik(架構式基壇) with slabstone from the time of unified Silla. Considering that, we can see there should have been the stylobate of Jeonchuk(塼築基壇) differently from what it is now, so it must have been very different from how it looks no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