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연구는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을 적용하여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와 어머니의 정서적 자녀가치와 양육행동 간의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검증하고, 부모의 정서적 자녀가치가 양육행동을 매개로 자녀의 학습준비도와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의 전이과정에서 부모의 정서적 자녀가치와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학업능력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초등학교에서의 안정적인 적응을 위한 전이 준비의 중요성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결과,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정서적 자녀가치가 온정적 및 통제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유의한 자기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정서적 자녀가치가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에 미치는 유의한 상대방효과가 나타났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정서적 자녀가치가 유아의 학습준비도 및 학업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부모의 양육행동에 의해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 자녀가치와 양육행동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학업능력에 영향을 주는 것을 구체적으로 살펴보아 초등학교로의 적응을 위한 전이 준비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정서적 자녀가치 증진과 양육행동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학업능력을 발달시키기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정보를 제공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dyadic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and fathers in their emotional value of children and parenting behavior and their effects on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nd scholastic competence. This research made use of 6th and 7th year data from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PSKC). Participants numbered 1,041 parents and their children. Data were analyzed upon the Actor-Partner Interde- pendence Model(APIM) using SPSS 21.0 and Amos 21.0.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oth mothers’ and father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had a significant positive actor effect on their own warm and controlled parenting behavior. Second, only mother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partner effect on fathers’ warm parenting behavior, but no partner effect of fathers’ was found. Third, parenting behavior completely mediated the effects between both parents’ emotional value of children and preschoolers’ school readiness and scholastic competence.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widespread parenting programs would be necessary for acknowledging their values of children and proper parenting, which would eventually affect child’s school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