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성경에서 “이웃됨”의 의미를 가장 잘 보여주고 있는 본문은 누가복음에 나오는 ‘선한 사마리아인’ 이야기다. 이 이야기는 복음주의적 “이웃됨”의 의미를 잘 설명해준다. 복음주의적인 연구가 되기 위해서 본문의 주제와 그 의미 대하여 성경적이고 전통적이며 현대적인 방법으로 탐구한다. 성경 본문이 말하고자 하는 바를 올바로 해석해야하기 때문에, 성경해석학적 방법론이 필요하다. 성경해석학적인 방법론을 위해서 해석학의 3가지 방향성인 이해, 번역, 해설의 단계를 따른다. 본문의 상황 이해를 위해서 복음서에 산재해 있는 랍비와의 대화를 비교, 대조, 분석, 종합하고, 당시의 상황에서 유대인들이 이해했던 “이웃됨”에 대해서 조사한다. 당시 유대인들은 그 어떤 주변국의 민족들보다도 사마리아인들을 더 경멸했다. 본문에 대한 신학적인 의미는 주로 정통성과 비정통성의 논쟁이 될 수 있는데, 본문에서 그리스도는 “이웃됨”에 있어서 정통 가르침을 따르지 않는 정통성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답한다. 오히려 정통 가르침을 잘 이행하는 비정통이 더 정통이라고 답한다. 헬라어 문법적 연구를 통해서도 잘 나타난다. 랍비는 예수께 “누가 ‘나의’ 이웃입니까?”라고 소유격으로 묻지만, 예수는 “누가 ‘너에게’ 이웃이 되느냐?”라며 여격으로 답한다. 즉, 이웃은 내가 규정하는 객체가 아니라, 이웃은 주체이다. 이웃의 범위를 과거의 유대인들이나 오늘날의 우리들처럼 정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들에게 이웃이 되는 것이 “이웃됨”이라는 것이다. 오늘날의 한국의 상황에 적용하고 해설을 하면, 우리에게 사마리아인은 새터민이나 조선족일 수 있다. 가장 가까운 그들을 일본인, 중국인, 동남아시아인, 미국인, 러시아인, 아랍인 등보다 우리는 더 멀게 대하는지도 모른다. 하지만 성경은 그들도 우리의 이웃이라고 말한다. 이웃의 범위를 확장하라는 뜻이 아니라, 이웃의 범위는 없으며, 우리가 그들에게 이웃이 되라는 것이 기독교적 “이웃됨”이다.


One of the most significant and construing Biblical texts for the meaning of Evangelical “neighboring” is Lucan Good Samaritan story. This article deals with the concept of “neighboring” in the perspective of Evangelical Biblical Hermeneutics based on this Biblical text. It ought to be Biblical,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to be an evangelical research. The methodology follows the 3 folded orientations of Hermeneutics: understanding, rendering, and demonstrating.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in the text, including how Jewish people understood “neighboring,” it is examining the illustrations of Jesus and Rabi distributed in the books of Gospel with these methods: comparing, contrasting, analyzing, and synthesizing. Jewish people looked down on Samaritans more than any people or nations around them. The most profound theological issue which can be drawn from this text must be the controversy between orthodoxy and unorthodoxy. In the text, Christ says it is useless to insist orthodoxy which does not follow the teachings of orthodoxy as to “neighboring.” An unorthodox would be more likely orthodox if he/she follows the orthodox lessons. It is also well revealed from a Greek grammatical analysis. The rabbi asks Jesus “who is ‘my’ neighbor?” with a genitive case. Jesus, however, answers “who is the neighbor ‘to you?’” with a dative case. In that, a neighbor is not the object of an act that ‘I’ define, but the subject. We are not supposed to define or refine the boundaries or levels of neighbors as Jewish people or others did or do, but to become their neighbors is the core lesson of “neighboring.” Applying it to the context and environment of contemporary South Korea, North Korean immigrants or Chinese people of Korean descent can be Samaritans to us. Although they are kinnest both in linguistics and genealogy, we might consider them further or even less than Japanese, Chinese, South East Asian, American, Russian, or Arab. An yet, the Bible tells us that they are our neighbors. It is not for us to enlarge the definition and boundary of neighbor, but to eliminate them so that we would be their neighbors. It is the key of Evangelical “neighb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