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괴롭힘 현상의 방관자 모형을 구체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우선 가해자 또는 피해자의 전형적인 설명모형이 방관자 모형에도 적용될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298명의 중고등학생(중학생-160명, 고등학생이 138명)이었고, 사용된 검사척도는 지배성 척도, 사회성척도, 공감 척도, 이타성 척도, 그리고 집단괴롭힘의 방관성 척도였다. 연구결과 공감은 정서와 인지가 이질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다차원 개념임이 확인되었다. 가해자-방관자-피해자의 특성은 단일스펙트럼 상에서 양적인 차이라는 가정도 입증되었다. 또한 집단괴롭힘의 방관자 모형은 청소년기의 경우 발달적인 변화가 있고 설명모형도 시기적으로 다르게 적용해야 함이 밝혀졌다. 그러나 본 연구는 집단괴롭힘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학교나 주변 등 환경적 변인들과 성차 등의 기본 변인들을 비교하지 않은 한계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예방적인 차원에서 다수의 방관자를 실제 행위자로 돌변시키는 촉발 단서와 조건들을 구체화시킬 것을 제안하였으며, 추후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model of dominance, sociability, empathy, and altruism on bullying bystander attitude in adolescents. To identify the roles, sample of 29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Dominance scale, Sociability scale, Empathy scale, Altruism scale, and Bystander attitude scale. The results were as follow: Empathy consist multidimensional constructs of heterogenous emotion and cognition.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one dimensional model of offender-bystander-victim might be effective on bullying in adolescents. Cognitive empathy and emotional empathy in the relation between dominance and bystander attitude was mediate and moderate relationships separately. Multi group analysis showed there was a discrepancy between early and late adolescents on bullying bystander attitude. Finally, limitation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s of gender, trigger effects and environment variables of bullying bystander attitude in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