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듀이는 앎과 삶 사이의 전통적 분리를 극복하고 현재의 생활을 중심으로 양자를 통일하여 민주주의로 나아가는 교육을 실시하고자 하였다. 학생을 학습의 주체로 파악하고 교실이라는 공간을 하나의 민주주의의 공론장으로 보았으며, 대화와 소통이라는 민주주의 방식을 중시하였다. 그는 교육이 어떻게 민주주의에 기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을 이론적으로 정립하려는 노력을 기울였으며 그것을 실천으로 담보하려고 했다. 그의 삶 자체도 지와 행을 통일시키려 했음을 알 수 있다. 듀이의 교육 이론이 역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내용의 측면에서 현재의 삶과 연관된 역사이다. 학생의 경험 세계와 연결된 역사를 다룸으로써 학생들이 역사를 자기 삶의 문제로서 적극적인 의미 부여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근현대사, 가족사, 지역사 등이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둘째, 방법적 측면에서 다원적 시각의 역사 이해다. 교실이란 공간에는 다양한 삶의 맥락을 가진 학생들이 존재한다. 이들이 평등한 인격적 주체로서 상호 공감이 이루어지는 소통을 통하여 다양한 생각을 표출할 때, 획일적 역사가 아닌 다원적 시각에서 역사에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목표의 측면에서 학생들을 민주 시민으로 성장시킨다는 점이다. 학생들이 중심이 되어 자유로운 의사소통과 다양한 경험이 이루어지면서 교실이 하나의 공동체가 형성되고, 그 속에서 학생들은 자연스럽게 민주시민으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John Dewey intended that doing and knowing should not be separated and they could be combined one in the course of experience, leading to education of democracy. He thought students play main role in class, and classrooms are a sort of public sphere in which dialogue and communication are made. The Theory of John Dewey can give three suggestions for history education. First, history linked with present living. In terms of Dewey's theory, history should deal with not dead documents but facts concerned with student's life, especially modern history. Second, understanding of history by way of multiperspectivity. It importantly consists of the conversation and the communication on the basis of sympathy between students. Third, developing from student to democratic citizen. In the course many corelation in the classroom, students are developing their citizenship needed in society. So, Dewey thought that school is a sort of community for experience, inquiry and democracy by way of reconstructing their experi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