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논문은 2015년 이후 대대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비혼선언이라는 사회, 문화적 현상을 철학적으로 분석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비혼은 아직 미(未) 자에 혼인 혼(婚)자의 미혼이라는 단어의 함의를 넘어서는 것이다. 왜냐하면 미 혼은 모든 이들이 거쳐 가야 할 인간의 통과의례로 결혼을 상정하고 이를 정상 화 경로의 축이자 필연성의 구조로 전제하는 단어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닐 비(非)자에 결혼 혼(婚)자를 조합한 비혼이라는 개념은 결혼제도의 필연성을 반 박하고 있는 단어이기도 하다. 여기서 비혼은 선언의 대상이자 대항실천이며 페미니즘 담론의 주요 키워드이자 대안적 제도의 변환점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실천, 담론, 제도의 축을 새로이 구성하고 있는 비혼에 대한 미래적 용 법의 창안이야말로, 현재 한국사회에서 비혼의 현실을 제한하고 있는 여러 규 범적 장치들을 효과적으로 해체, 변환해나갈 수 있도록 할 것이다. 왜냐하면 비 혼은 기존의 위계적 젠더 분할체제와 이성애 규범성의 가족주의가 생산하는 순 응적 몸이 아닌 다른 미래적 몸을 생산해내는 전략이기 때문이다. 또한 이것은 새로운 생애주기의 발명이며 퀴어 시민성의 연대방식이기도 하다. 왜냐하면 비 혼 선언은 기존의 인간다움이 구성되는 방식이었던 친족 구조와 친밀성의 양식, 섹슈얼리티, 성별 노동 분업의 양태 등을 재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Cet article consiste à apporter un regard profond et analytique sur le phénomène non négligeable du manifeste du refus de mariage. Ce manifeste du refus du mariage adopté par les féministes est un geste qui brise la nécessité du régime du mariage impliquant le mécanisme de la normalisation. Ce manifeste pratiqué par la nouvelle vague du mouvement féministe nommé hell femi, est une sorte de la résistance à la structure sociale, hiérarchique et machiste. Ce maniste féministe bouleverse le présent et le futur, dans la mesure où la pratique et le discours, l'institution seraint profondément affectés par ce manifeste féministe. Le refus de mariage est une stratégie d'inventer une autre manière de vivre ensemble et de créer le trajet de la vie non fondé sur l'hétéronormativité. Cela est une possibilité de renforcer la citoyenneté queer et la modalité de la vie post humaine. Parce que le manifeste du refus de mariage est à la fois une déconstruction du patriarchat et de l'anthropocentrisme et une invention inédite de la modalité de l'union par l'amour et l'amitié et de la cohabitation ouverte au couple de même sexe et aux amis, aux animaux. Dans ce sillage de la pensée, ce maniste féministe est une fabrication du corps futuriste et évenementiel qui est le métamorphoject. Ce corps futuriste qui est une modalité de la subjectivation féministe, est le pivot incontourable par le quel la structure de famille et d'intimité, de la sexualité, de la répartition du travail selon le sexe seraint bouleversée et l'objet de réagenc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