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한국에 거주하는 미얀마 출신의 이주노동자가 민주화 운동가 로서 정치적 난민이 되고, 이후 미얀마의 정치적 변화에 따라 귀환을 마주 하는 과정을 NLD-LA 한국 지부를 중심으로 살펴본다. 민주화 운동가이자 동시에 정치적 난민으로서 버마 민주화 운동을 펼쳐온 이들의 활동은 한국 시민사회의 지원과 함께 한국에 난민과 버마 민주화의 이슈를 알리는 계기 가 되었다. 최근에는 미얀마의 정치적 변화와 함께 한국에서 안정적으로 체류를 영위하고 있는 정치적 난민에게 귀환의 가능성이 가시화되었다. 이 에 따라 디아스포라 정치에 대한 회의, 경제적 요인 등을 기반으로 일부 난민은 미얀마로의 귀환을 감행한다. 반면 한편에서는 모국의 민주화에 대 한 비판적 평가, 공식적 귀환과 확인 방문이 불가능한 상황, 오랜 정주의 영향력, 질병과 죽음으로 인해 한국에서의 체류를 지속한다. 미얀마도 한국 도 아닌 중간 실천의 사례도 찾아볼 수 있다. 미얀마의 정치적 난민은 한국 사회가 경험한 1세대 난민으로, 이들이 한국에서 20여 년간 살아온 시간은 개인사임과 동시에 한국 사회가 난민을 발견하고 경험하며 정책과 태도를 수정해온 시간이다. 그 점에서 미얀마 출신의 정치적 난민은 한국 사회의 저변을 확장하는 한계 개념으로 역할 해왔다 할 수 있다.


This paper aims at exploring the course immigrant workers from Myanmar migrated to Korea, became pro-democracy activists and political refugees, and faces the issue of return in NLD-LA Korea branch. Pro-democracy activists who were not aware of themselves as refugees, have come to find the necessity of stable residence status and their own refugeeness with their political opinion. As pro-democracy activists and political refugees, they have passionately participated in Burma’s pro-democracy movement in Korea which was operated as transnational politics at the same time, and contributed to inform the Korean society of an issue of refugee and Burma’s pro-democracy movement. With recent political changes in Myanmar, return has been a new issue among political refugees staying in Korea. This papers focuses on political refugees’ reaction to dilemma of return in their return, prolonged exile, and the other practices in between exile and return. As their stay in Korea lasts around 20 years, it is not just a history of a person, but also a history of Korean society at the same time in a sense, because the 20 years has been the process of Korean society of finding and experiencing the refugees, and revising policies and attitudes toward them. In that respect, political refugees from Myanmar have acted as “a borderline concept” to help Korean society expand the outermost sphere and become more inclusive, yet questioning the Korean society what it really means to live togeth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