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조선인의 중국 이주 초기, 연변지역의 전통가옥은 함경북도의 양통집 양식을 그대로 옮겨온 것이었고 주거문화 역시 크게 다를 바가 없었다. 그러나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된 이후 연변지역의 조선족 주거문화는 한반도의 함경북도와 전혀 다른 길을 걷게 된다. 그 변화를 시기별로 크게 나눈다면, 195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를 첫 단계로,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를 두 번째 단계로, 2000년대 이후를 세 번째 단계로 나눌 수 있다. 1950년대는 사회주의 개조가 시작되어 마무리되는 시기이다. 토지개혁을 통해 평균분배 되었던 토지는 다시 집체소유로 넘어가고, 여성의 노동참여를 권장하고자 마을에는 탁아소와 유치원이 세워지고, 애국위생운동을 광범위하게 전개하면서 변소․돼지우리․외양간 등이 새롭게 개조되기에 이른다. 이는 경제․교육․규범․오락 등 측면에서 가족기능의 급격한 변화를 초래하게 되고, 그것이 다시 주거문화의 변용으로 이어진다. 1980년대에 이르면 농촌에서 가족생산책임제가 본격적으로 시행되고 가족을 단위로 경제활동이 영위된다. 이와 더불어 산아제한 정책으로 신생아 수가 급격히 줄어들고, 전기밥솥과 전병가마 그리고 텔레비전의 보급으로 주거문화는 또 다시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그리고 2000년대에 들어서면 연변지역도 본격적으로 도시화와 세계화의 물결 속에 휘말리게 된다. 많은 노동력이 대도시와 한국으로 떠나가고 간혹 남아있던 학교들마저 연이어 폐교되면서 노인 가족 또는 일인 가족이 주된 가족형태가 된다. 정서적 또는 의례적 측면에서 가족기능이 크게 상실되고, 경제적 측면에서도 큰 변화를 맞이하게 되면서 이전과는 다른 주거문화가 만들어지기에 이른다. 한마디로 요약한다면, 중국의 사회변동으로 가족기능이 1950년대에는 사회제도적 측면에서, 1980년대에는 경제적 측면에서, 2000년대에는 세계화라는 큰 흐름 속에서 큰 변화를 가져올 수밖에 없었고, 그것이 다시 조선족 주거문화의 변화를 초래하게 된다.


In early emigration, Ethnic Korean’s traditional houses of China copied the type of Gyeobgyp, a house with several wings, in Hamgyeongbuk-do intactly and dwelling cultures were as well. But their cultures had been differentiated from those of Hamgyeongbuk-do after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was built. The changes could be divided with period as follows; 1950’-1970’ could be the first time, 1980’-1990’ the second, and times after 2000 the third. Socialist transformation had been finished in 1950’. At that time, the land that had been divided averagely by a land reform became collective owned again and day care centers were built in towns for labor participation of women. Toilets, pigsty, and barns were altered with new things in nominal terms of an extensive patriotic sanitation movement as well. These brought about dramatic changes of family functions in an aspect of economies, education, criteria, and entertainments and were being continued as usage of dwelling cultures. In 1980’, “Hodogeori”, which means that collective agriculture is converted into individual one, was implemented actually and then economic activities were formed of the unit of family. In addition, the number of newborn decreased dramatically due to a birth control policy and the supply of an electric rice cooker, a caldron for making pancakes and a television made the dwelling cultures changeable. Yanbian was caught in urbanization and globalization of sudden changes in 2000’. Many workforces moved to big cities or Korea, and remaining schools closed consecutively. As a result, the type of family became that of an old man or only one person. In the emotional and formal aspects, the family functions were lost sharply, and the economical situations made the dwelling cultures different from those in the past. In conclusion, a social system caused the family functions to be changed in 1950’, economy in 1980’, globalization in 2000’ and then they have resulted in the changes of the dwelling cult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