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우리나라 개항기인 1882년(고종19) 서양의 국가 가운데 최초로 체결한 ‘조미수호통상조약’(朝美修好通商條約)의 체결장소가 밝혀짐에 따라 이를 기반으로 한 인천 구도심의 문화콘텐츠 활성화 방안이 시급하다. 조미수호통상조약은 1882년 서구와 맺은 최초 조약이자 불평등조약으로 이후 서국 각국과의 조약에 준거가 된중요한 사건이다.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장소를 놓고 사학계에서는 ‘화도진’(인천시 동구) 이라는주장과 파라다이스호텔인천(인천시 중구)이라는 주장이 논의되어 왔었다. 그러나2013년 9월 조약체결 당시 지도가 발견되면서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장소가 ‘인천시 중구 북성동 3가 8의 3 라파치아웨딩홀’(현 다비웨딩홀)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후 인천광역시 역사자료관과 시사편찬위원회가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장소는어디인가’란 주제로 2015년 11월 25일 ‘시사편찬위원회 50년 기념 인천 역사 재조명’ 학술대회를 열어 인천시 중구 북성동 3가 8의 3이 정확한 체결장소임을 비정하였다. 조미수호통상조약은 우리나라가 최초로 서양에 문호를 연 역사적 사건이며 우리나라 개항기의 역사를 함축적으로 담고 있는 중요한 키워드라 할 수 있다. 따라서조미수호통상조약에 스토리텔링을 입혀 문화콘텐츠화할 경우 세계적인 역사, 교육, 관광콘텐츠로 충분히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장소 주변은 우리나라 개항 당시 근현대건축물이나 개항기 화교들이 정착한 차이나타운 등이고스란히 남아 있어 이와 연계하여 전략을 만들어간다면 상당한 경쟁력을 갖춘 인천의 ‘문화관광콘텐츠’가 될 가능성도 농후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조미수호통상조약 체결장소를 기반으로 한 인천 내의 스토리텔링을 살펴보고 그와 연계한 역사, 교육, 문화콘텐츠 개발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In 1882, the opening period of Korea, Korea was the first place among the Western countries to sign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Therefore, it is urgent to revitalize cultural contents of Incheon old city center based on this. It was the first treaty and inequality treaty signed with the West in 1882, and it was an important event in accordance with the treaties with the countries of the West. There have been discussions on the claim of ‘Hwadjin’ and ‘Paradise Hotel Incheon’ in the private school for the place where the treaty was concluded. However, the map was discovered in September 2013 when the treaty was concluded. It was revealed that the place of conclusion of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was 3 of 8 in Bucheon-dong, Jung-gu, Incheon. The Incheon Metropolitan City Historical Museum and the Sisa Compilation Committee held an academic conference on November 25, 2015 under the theme. In this conference, 3 of 8 in Bucheon-dong, Jung-gu, Incheon city,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is a historical event in which Korea opened its doors to the West for the first time. It is an important keyword that implies the history of Korea’s opening period. Therefore, if the story is written in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it will be enough to be used as world history, education, and tourism contents. Especially, around the place where the ‘United States-Korea Treaty of 1882’ is concluded, there are modern and modern buildings and Chinatown where the overseas Chinese have settled. If you create a strategy in tandem with this, it will become a ‘culture and tourism content’ of Incheon with considerable competitivenes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direction of the storytelling in Incheon and the development of history, education and cultural contents based on the concluding trea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