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함안 성산산성(사적 제67호)유적은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1991년 발굴조사를 시작하여, 1992년에 동성벽 부근을 발굴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목간 2점이 확인되어 주목을 받았다. 이후 동성벽 안쪽의 부엽층에서 308점의 목간이 출토되어, 우리나라 단일 유적으로는 최대 목간 출토지가 되었다. 고대사 연구를 위한 기록문화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우리나라에서 당시 사람들이 쓴 기록이 그대로 남아 있었기 때문에 목간 사용 시기의 지역명, 인명, 조세체계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2014~2016년에 진행된 함안 성산산성 제17차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목간 23점에 대해 살펴보았다. 특히 주목되는 것은 사면에 모두 묵서가 있는 사면목간으로, 기존 성산산성에서 확인되지 않은 경위 관등명(大舍)이 확인되고, ‘무슨 법 30대’, ‘60일 대법’ 등 당대 율령체제를 엿볼 수 있는 매우 중요한 문서목간이다. 그 외에도 구리벌의 2가지 표기법, 외위 관등명인 거벌척(居伐尺) 등도 확인되어, 우리나라 목간 연구뿐만 아니라 고대사 연구에 획기적인 성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Since 1991, the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surveying Seongsansanseong Fortress. Meanwhile, since the initial discovery of two mokgan (wooden writing tablets) during the 1992 investigation, nearly 308 other such tablets were discovered in the section near the east gate site, making this site the largest archaeological site in the country, in terms of wooden writing tablets. Those are rich sources of historical information that they offer precious clues about the lifestyle, name of person and tax system that during the period in which the fortress was in use. This research paper was studied about 23 of wooden writing tablets that discovered during 2014 to 2016 and one wooden writing tablet that the inscription are written in ink on four side was found. The interesting thing is, it contains specific character which represents social class in Silla (particularly in capital, Gyeongju) such as 大舍 and law system such as 代, 60日代法. Moreover Guribul(仇利伐, the one place name of Silla) were confirmed on wooden tablet and it was written in two different types. I hope that this research contribute not only wooden writing tablets studies but also primary sources of ancient history and valued for glimpses of ancient societies they provid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