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는 인력규모 100인 이하의 116개 중소기업 CEO의 한국형 리더십이 조직성과에미치는 영향과 구성원 조직몰입의 매개효과를 조직수준에서 검증한 연구이다. 조직 위계 수준 정도, 시스템의 강도 등 조직성과에 미치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고려할 때 대기업보다는중소기업에서 CEO 리더십의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날 수 있다는 전제 하에, 한국형 리더십의 8요인 중에서 CEO에게 적용되지 않는 상향적응과 수평조화를 제외한6요인(자기긍정, 성취열정, 솔선수범, 하향온정, 미래비전, 환경변화), 조직몰입, 그리고 조직성과의 관계를 가설로 설정한 후, 다원천(multi-source) 설문결과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 한국형 리더십과 조직몰입은 조직별로 구성원 3인의 응답을 평균하여 내적 일관성을 검증한후 사용하였으며 조직성과는 CEO의 응답을 활용함으로써 동일방법편의를 극복하려고 노력하였다. 통제변수로는 CEO재임기간, CEO의 기업소유 여부, 회사 인력규모 그리고 산업군등 네 가지변수를 사용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형 리더십은 CEO가 측정한 주관적 조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한국형 리더십과조직성과의 관계에 있어 정서적 몰입의 매개역할을 Baron and Kenny(1987)의 방식으로 확인한 결과 정서적 몰입이 한국형 리더십과 조직성과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SPSS macro를 이용한 간접효과 검증결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형 리더십을 조직수준에서 검증하여 유의적인 결과를 얻었으며, 그 과정에서 조직에대한 구성원들의 정서적 몰입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혔다는 함의를 갖는다. 하지만 객관적 조직성과가 가용하지 않아 주관적 성과변수를 사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한계를 갖는다. 연구의 말미에 연구의 이론적, 실무적 함의와 다른 한계점들을 논의하였으며 향후 연구방향도 제시하였다.


The current paper is to test the effect of CEO Korean Leadership on firm performanc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affective commitment between them at the organizational level with 116 CEOs of small-sized firms that have less than 100 employees. The reason why we took CEOs of small-sized firms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CEO’s impact on firm performance is more direct with small-sized firms than with large firms. Out of eight dimensions of Korean Leadership, we had to eliminate Upward Adaptation and Horizontal Harmony due to their inadequacy to CEO positions, leaving six factors as in Self-Positivity, Passion for Achievement, Leading by Example, Downward Benevolence, Future Vision, and Adaptation for Change. After having established hypotheses by theoretically associating the six Korean Leadership factors with firm performance along with the mediating variable, we collected data using multiple data sources. Specifically, we asked three employees of each company to answer questions for Korean Leadership and affective commitment, while having CEOs to respond to questions of firm performances. This way we partially were able to avoid the common method variance. In addition, we used CEO tenure, CEO’s company ownership, employee size, and industry as control variables.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s showed that Korean Leadership significantly affects firm performance and that affective commitment fully mediates the relations between Korean Leadership and firm performance when tested with both Barron & Kenny’s(1987) method and SPSS macro. Implications of the present study include that it used the organizational level in testing relations between the Korean Leadership and performances and that the mediating role of affective commitment has been confirmed in the process of Korean Leadership enhancing firm performance. Other implications of the study also have been discussed along with study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