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목적: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 시행에 있어서 수술 시간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인자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09년 4월부터 2014년 6월까지 5년에 걸쳐 내시경을 이용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받은 66명 66안을 대상으로 수술 시간을 측정하고, 환자의 나이, 성별, 질환의 분류(염증성 vs. 비염증성), 전신 질환(당뇨, 고혈압, 항응고제 사용 여부, 부비동염 과거력), 술 전 안와 컴퓨터 단층 사진을 통해 측정한 상악동의 전두돌기 두께 등 각 요인들과 수술 시간의 관련성, 수술 시간과 증상 재발 혹은 재수술 여부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비정상적 비강 구조를 가진 경우, 다른 수술을 동반 시행했거나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을 양측에 동시에 시행한 경우는 제외하였다. 결과: 평균 수술 시간은 49.95분이었다. 또한 코눈물길 막힘의 원인을 분류했을 때 비염증성보다 염증성의 경우(p=0.047)에서 술 전 안와 컴퓨터 단층 촬영을 통해 측정한 상악동의 전두돌기 두께가 얇을수록 평균 수술 시간이 더 짧았다(p=0.001). 또한 연구 기간인 5년을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분석했을 때 최근 마지막 시기의 수술 시간이 가장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1). 또한 수술 시간이 길수록 증상이 재발했거나 재수술을 한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12). 결론: 술자의 숙련도와 코눈물관막힘의 원인을 분석하고 술 전 안와 컴퓨터 단층 사진을 통한 상악동의 전두돌기 두께 측정을 통해 내시경을 통한 코경유눈물주머니코안연결술의 소요 시간을 예측 가능하며 이는 수술 예후와도 관련성이 있다.


Purpose: To determine the prognostic factors associated with surgical time of endonasal dacryocystorhinostomy (DCR). Methods: From April 2009 to June 2014, 66 eyes of 66 patients who underwent endonasal DCR for 5-year periods were retrospectively evaluated with regard to surgical time and several other factors. The factors were patient factors (age, sex), category of diagnosis (inflammation and non-inflammation), and systemic factors (diabetes mellitus [DM], hypertension [HTN], anticoagulant agents, sinusitis history). We divided the study period into three subperiods and compared their surgical time. The anatomical factor of thickness of the maxillary frontal process was evaluated by computed tomography (CT), as was the existence of symptom recurrence after surgery and reoperation according to surgical time. A total of 66 cases (right: 31, left: 35) were included. Any case with concurrent surgery, abnormal structure of the nasal cavity, or bilateral DCR was excluded. Results: Average surgical time was 49.95 minutes. Surgical time of endonasal DCR was short in inflammatory cases (p = 0.047), in the third surgical period (p = 0.001), and was correlated with thickness of the maxillary frontal process (p = 0.001). In addition, surgical time correlated with the existence of symptom recurrence after surgery and reoperation (p = 0.012). Conclusions: It is considered that surgeon skill affects surgical time, and the thickness of the maxillary frontal process by CT will aid in the prediction of surgical time and success rate of endonasal DC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