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정보보안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다양한 정보보안 위협이 나타남에 따라, 조직은 보다 체계적이고 전문화된정보보안 기술 및 정책을 도입하고 있다. 금융업은 타 업종 보다 엄격한 수준의 정보보안 기술 및 정책을도입하고 있으나, 실제로 고객 정보가 포함된 정보 노출 사고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더욱이 내부자에의한 정보보안 사고 또한 줄어들지 않고 있어, 이에 대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정보보안 관련 많은 선행연구들은 조직원의 정보보안 준수 행동을 높이기 위한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으나, 정보보안 기술 및 정책의엄격한 도입에 따라 발생 가능한 정보보안 관련 스트레스와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본 연구는 정보보안 준수의도를 감소시키는 정보보안에 의한 업무 스트레스 유형(업무 모호성, 업무 갈등) 을 제시하고, 업무스트레스를 억제시키기 위한 조직의 지원 매커니즘을 찾는다. 또한 발생한 조직원의 업무스트레스가 준수의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개인이 보유한 업무대처를 제시한다. 연구 대상은 정보보안 정책 및 기술을 엄격하게 도입하고 있는 금융 기업들에서 재직중인 조직원들이며, 서베이를 통하여 유효 샘플 246개를 수집하였다. 연구 가설 검증은 구조방정식 모델링을 실시하여 결과를도출하였다. 정보보안 관련 업무스트레스가 조직원의 준수의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직의 스트레스억제요인인 정보보안 활용촉진, 기술 지원, 그리고 참여 촉진이 업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가적으로 업무 대처가 업무스트레스와 준수의도간의 부정적 영향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는 조직원의 보안 관련 업무스트레스가 정보보안 위협 요인이 되기 때문에, 조직은 조직원의 스트레스 억제를위한 전략 수립 및 지원이 필요함을 제시한다.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manag ement is growing and organizations are continuously investing in information s ecurity, and adapting and operating sy stematic security policy. This research suggests the types of information secu rity related work stress(work ambiguity, work conflict) which decreases inform ation security compliance intention, and finds organization’s support mechanis m for inhibiting work stress of employe es. Also, presents individual task copi ng as the method for alleviating the ne gative influence of employee’s work st ress on compliance intention. We us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is. We conducted survey on the employees of South Korean financial organizatio ns that adapt and operate information security policy and technology, and a total of 246 responses were collected. The result shows that information secu rity related work stress decreases emp loyee’s compliance intention, and that the stress inhibiting factors such as lite racy facilitation, technical support prov ision, and involvement facilitation decr ease work stress, and additionally, sh ows that task coping regulates the neg a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between work stress and compliance intention. As employee’s security related work st ress acts as a threat factor to informati on security, the result suggests the ne ed for establishing stress inhibiting str ategies and sup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