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고는 구전소화와 문헌소화의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누가, 누구를 웃음의 대상으로 삼았는지, 그리고 그 이유는 무엇인지를 비교함으로써 두 소화의 웃음 담론을 비교 고찰하였다. 구전소화의 등장인물들은 1차적 관계로 이루어진 공동체 사회 구성원으로 이루어진 반면에, 문헌소화는 2차적 관계로 이루어진 이익 사회 구성원들로 이루어진다. 구전소화의 경우, 인물에 대한 구체적인 정보보다는 연행 공간의 담론 행위 자체를 강조하였다. 하지만 문헌소화는 인물들의 구체적인 신분 정보나 소속 집단의 시·공간적 정보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웃음 담론의 사회적 의미를 강화하였다. 구전소화의 인물들은 인간의 본능이나 본성과 관련된 범사회적 가치나 존재와 결부된 본질적인 웃음의 논리를 검증하거나 선택하도록 기능한다. 반면 문헌소화의 인물은 담론의 주체가 실천하고자 하는 특정 사회 집단의 규범이나이념의 정체성을 확인하고 담론의 실천적 의지를 확고히 강화하는 기능을 수행하였다.


In this paper, I studied the oral and written traditions of Funny Story by comparing these stories’ humorous discourse―who ridiculed whom and why. Characters in oral traditions are members of a primary group such as family or relatives. However, characters in written traditions are members of a secondary group like gesellschaft. Oral traditions emphasize discussion rather than specific character information. Conversely, written traditions strengthenthesocietalconnotationofahumorousdiscourse by indicating specific character information such as status or space-time information of an affiliated group. Characters in oral traditions confirm the norms and ideologies of social groups, making an effort to practice pan-social values related to human nature. In addition, they confirm the discourse’s practical vol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