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이 글에서는 『제국의 위안부』를 둘러싼 논쟁을 검토하고, 이 문제를 ‘기억의 정치학’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제국의 위안부』는 일본군 위안부피해자들에 대한 일본 국가의 법적 책임을 부인하고, 한국인 위안부의 식민지적 특수성을 강조하며, 전시성노예제를 성매매 및 성노동으로 이해한다는점에서 매우 문제적인 인식을 보여준다. 이에 대해 한국과 일본의 여러 연구자들이 국제법, 역사학, 여성학의 시각에서 비판을 제기하였다. 1990년대이후 탈냉전과 민주화의 물결 속에서 전세계적으로 아래로부터의 대안적인역사 서술의 가능성이 다방면에서 모색되어 왔다. 이 가운데 『제국의 위안부』 의 지적 계보는 후기구조주의적 포스트모던 역사 인식론과 신민족주의가 교차되는 지점에서 발견된다. 『제국의 위안부』는 부제인 ‘식민지지배와 기억의투쟁’에서 명시하고 있듯, 위안부를 둘러싼 상이한 주체의 기억들의 경합을다루는데, 특히 문제시되는 지점은 저자 박유하 교수가 이를 배치하고, 서술하고, 해석하는 방식이다. 이 글에서는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여성주의적·문학적·국제정치적 접근법을 소개함으로써 박유하 교수의 위안부 재현 및 서사를 비판하였다.


This article reviews the controversy over Yu-ha Park’s book “Comfort Women of the Empire” in terms of ‘politics of memory.’ The book denies Japanese legal responsibility, emphasizes the collaborative role of the colonial Korean comfort women, and shows a very problematic understanding of wartime sex slavery. Many researchers in both Korea and Japan have criticized “Comfort Women of the Empire” from the point of view of international law, history, and feminist studies. Since the 1990s,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and counter narratives to official history has been steadily sought from all over the world in the wave of post-Cold war and democratization. The genealogy of “Comfort Women of the Empire” is found at the intersection of post-modern historical epistemology and neo-nationalism. “Comfort Women of the Empire” dealt with the contradictory memories of different subjects surrounding the comfort women issue, as stated in the subtitle “Colonial Rule and the Struggle of Memory.” As the flares were thrown into the battlefields in the middle of the night, the controversy sparked by this book unfolds the irregular terrain of the comfort women issue in the Korean society. In this paper, I introduce the feminist, literary, and international studies approaches to the issue of comfort women and criticize Yu-ha Park's representation and narratives of comfort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