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열기/닫기 버튼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대한 균형잡힌 접근을 도모하기 위하여 긍 정심리학에 기반을 둔 긍정정서를 탐구하는 것이다. 4년제 유아교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 교사 10명을 대상으로 적극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적극면담을 통하여 예비유아교사가 교육실 습기간 동안 경험한 긍정정서의 유발요인과 작용과정에 대해 고찰하였다. 예비유아교사는 유 아의 존재론적 특성으로 인해 긍정정서를 경험하였으며, 유아-실습교사-예비유아교사가 상호 교류하는 관계적 특성 및 가르침에 대한 만족, 교사로서 인정받고 있다는 느낌, 공간 전이를 통한 해방된 경험 속에서 긍정정서가 유발되고 있음을 인식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교 육실습에서 긍정정서의 작용을 탐구한 결과에 따르면, 긍정정서는 교육실습경험에 대하여 의 미있는 향유경험을 제공하고, 교사됨에 대한 가치부여, 교육과정을 새롭게 구성하는 교육디자 이너로서의 변신, 축적된 긍정경험으로 부정경험 완충하기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실습경험에 대한 긍정적 역할을 회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 으며, 부정정서를 중심으로 논의되었던 접근에서 벗어나 실습경험에 함축된 긍정정서에 주목 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음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meaning of building positive emotion in pre-serviced early childhood teachers during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For this study, 10 student-teachers participated to write their own reflective journals, and engage in active discussion three times during their practicum perio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orting, categorizing, and prioritizing depending on the core themes and contents. The representative words of sub-categorized contents were selected from the participants.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building positive emotion of pre-serviced early childhood teachers involves 'intimacy with children', 'meaning the teaching as a teacher’, ‘positive relationship with children and teacher’, ‘transitional characteristics of space’ and ‘emotional connection with children'. Second, it was found that positive emotion of pre-service teachers’ practical effect involves ‘savoring positive experience’, ‘rethinking the teaching’, ‘changing the educational designer’ role’, and ‘broadening and building positive emotion’.